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
---|---|
개최국 | ![]() |
개최 도시 | 스톡홀름 |
경기장 | 스톡홀름 올림픽 스타디움 |
참가국 | 18개국 |
참가 선수 | 170명 |
세부 종목 | 6개 종목 |
« 1908년 1920년 » |
![]() ![]() ![]() |
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 |
1912년 하계 올림픽 레슬링은 총 5개의 세부종목으로 치러졌으며 그레코로만형에 남성 종목만 편성되었다.
라이트헤비급 결승전은 9시간이나 진행되었으나 무승부로 결정되었고 두 선수 모두 은메달을 수여하기로 결정되었다.[1]
경기 결과
그레코로만형
종목 | 금 | 은 | 동 |
---|---|---|---|
페더급 자세히 |
카를로 코스켈로![]() |
게오르크 게르스태커![]() |
오토 라사넨![]() |
라이트급 자세히 |
에밀 배레![]() |
구스타프 말름스트룀![]() |
에드빈 마티아손![]() |
미들급 자세히 |
클라에스 요한손![]() |
마르틴 클라인![]() |
알프레드 아시카이넨![]() |
라이트헤비급 자세히 |
(없음) | 안데르스 알그렌![]() |
벨러 버르거![]() |
이바르 뵈흘링![]() | |||
헤비급 자세히 |
위리외 사렐라![]() |
요한 올린![]() |
쇠렌 마리누스 옌센![]() |
참가국
이번 대회에는 18개국 170명의 선수가 참가하였다.[2]
오스트리아 (8)
벨기에 (1)
보헤미아 (4)
덴마크 (9)
핀란드 (37)
프랑스 (6)
독일 (14)
영국 (12)
그리스 (1)
헝가리 (10)
아이슬란드 (1)
이탈리아 (6)
네덜란드 (3)
노르웨이 (9)
포르투갈 (2)
러시아 제국 (11)
스웨덴 (34)
미국 (2)
메달 순위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계 |
---|---|---|---|---|---|
1 | ![]() | 3 | 2 | 2 | 7 |
2 | ![]() | 1 | 2 | 1 | 4 |
3 | ![]() | 0 | 1 | 0 | 1 |
![]() | 0 | 1 | 0 | 1 | |
5 | ![]() | 0 | 0 | 1 | 1 |
![]() | 0 | 0 | 1 | 1 | |
합계 (6개) | 4 | 6 | 5 | 15 |
출처
- ↑ “Sweden Olympics Stockholm 1912”. 2013년 10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6년 11월 27일에 확인함.
- ↑ “Wrestling at the 1912 Stockholm Summer Games”. 《sports-reference.com》. 2020년 4월 1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5월 15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