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

2010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2010년 FIFA 월드컵 예선아시아 지역 1차 예선이다. 1차 예선에서는 2006년 FIFA 월드컵에 참가한 5개국을 제외한 AFC 순위 6~24위의 팀과 25~43위의 팀이 무작위로 편성되어 홈 앤 원정 방식으로 두 경기씩 치른다. 1~5위팀은 3차 예선부터 참가하게 된다.

경기는 2007년 10월 8일부터 10월 30일 사이에 진행되었다. 19개 승리 팀 가운데 순위가 높은 11개 팀은 부전승으로 3차 예선에 올라가고, 나머지 순위가 낮은 8팀은 2차 예선으로 올라간다.

참가국 및 시드 배정

대진 추첨은 2007년 8월 6일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있는 AFC 하우스에서 열렸다.

그룹 A 그룹 B

바레인
우즈베키스탄
쿠웨이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중화인민공화국
요르단
이라크
레바논
오만
아랍에미리트
카타르
시리아
팔레스타인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인도네시아
홍콩
예멘

베트남
키르기스스탄
몰디브
인도
싱가포르
스리랑카
말레이시아
중화 타이베이
방글라데시
마카오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몽골

네팔
캄보디아
부탄
미얀마
동티모르

경기 결과

보기
승자 중 상위 11개 팀 (3차 예선 직행)
승자 중 하위 8개 팀 (2차 예선 진출)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파키스탄 0 - 7 이라크 0 - 7 0 - 0
우즈베키스탄 11 - 0 중화 타이베이 9 - 0 2 - 0
태국 13 - 2 마카오 6 - 1 7 - 1
스리랑카 0 - 6 카타르 0 - 1 0 - 5
중화인민공화국 11 - 0 미얀마 7 - 0 4 - 0
부탄 부전승 쿠웨이트 없음 없음
키르기스스탄 2 - 2
(승부차기 5 - 6)
요르단 2 - 0 0 - 2
베트남 0 - 6 아랍에미리트 0 - 1 0 - 5
바레인 4 - 1 말레이시아 4 - 1 0 - 0
동티모르 3 - 11 홍콩 2 - 3 1 - 8
시리아 5 - 1 아프가니스탄 3 - 0 2 - 1
예멘 3 - 2 몰디브 3 - 0 0 - 2
방글라데시 1 - 6 타지키스탄 1 - 1 0 - 5
몽골 2 - 9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1 - 4 1 - 5
오만 4 - 0 네팔 2 - 0 2 - 0
팔레스타인 0 - 7 싱가포르 0 - 4 0 - 3[1]
레바논 6 - 3 인도 4 - 1 2 - 2
캄보디아 1 - 5 투르크메니스탄 0 - 1 1 - 4
부전승 인도네시아 없음 없음
  • 괌과 부탄은 각각 2007년 8월 7일9월 13일에 기권하였으며, 이에 따라 그들의 상대인 인도네시아와 쿠웨이트가 각각 자동으로 2차 예선과 3차 예선에 진출하였다.[2][3]

1경기


파키스탄 파키스탄 0 – 7 이라크 이라크
리포트 아크람 19분에 득점 19′
카림 24분, 49분, 88분, 90분에 득점 24′49′88′90′
굴람 71분에 득점 71′
모함메드 83분에 득점 83′
라호르, 펀자브 경기장
관중: 2,500


이라크 이라크가 합계 7-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2경기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9 – 0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샤츠키흐 4분, 16분, 34분, 57분, 77분에 득점 4′16′34′57′77′
카파제 26분에 득점 26′
카르펜코 43분에 득점 43′
바카예프 54분에 득점 54′
살로모프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중화 타이베이 중화 타이베이 0 – 2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
리포트 이노모프 79분에 득점 79′
수유노프 89분에 득점 89′

우즈베키스탄 우즈베키스탄이 합계 11-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3경기


태국 태국 6 – 1 마카오 마카오
차이캄디 12분, 49분에 득점 12′49′
댕다 21분에 득점 21′
위노타이 55분에 득점 55′ (페널티킥)
페트푼 82분에 득점 82′
통라오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첸키엔싱 23분에 득점 23′

마카오 마카오 1 – 7 태국 태국
첸키엔싱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댕다 22분에 득점 22′
수카 39분에 득점 39′
수라시앙 43분에 득점 43′
통라오 48분에 득점 48′
차이캄디 53분, 57분, 86분에 득점 53′57′86′
마카오, 캄포 데스포르티보 경기장
관중: 500

태국 태국이 합계 13-2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4경기



카타르 카타르 5 – 0 스리랑카 스리랑카
소리아 4분, 76분에 득점 4′76′
베치르 17분, 55분에 득점 17′55′
알 샴마리 85분에 득점 85′
리포트

카타르 카타르가 합계 6-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5경기


중화인민공화국 중국 7 – 0 미얀마 미얀마
취보 17분, 81분에 득점 17′81′
두전위 22분에 득점 22′
양린 58분에 득점 58′
류젠 63분에 득점 63′
리진위 76분에 득점 76′
리웨이펑 79분에 득점 79′
리포트
포산, 세기연 경기장
관중: 21,000

미얀마 미얀마 0 – 4 중국 중화인민공화국
리포트 우웨이안 13분에 득점 13′
류젠 14분에 득점 14′
정빈 35분에 득점 35′
장야오쿤 39분에 득점 39′ (페널티킥)
관중: 200

중국 중화인민공화국이 합계 11-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6경기


부탄 부탄 부전승 쿠웨이트 쿠웨이트

쿠웨이트 쿠웨이트가 부탄의 기권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7경기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2 – 0 요르단 요르단
에센쿨 울루 45분에 득점 45′
보코에프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요르단 요르단 2 – 0
(연장전)
키르기스스탄 키르기스스탄
셸바이에흐 34분에 득점 34′
아켈 51분에 득점 51′ (페널티킥)
리포트
승부차기
아부 알리에흐 성공
바와브 성공
아부 케셰크 성공
성공
아켈 성공
바니 야센 성공
6 – 5 성공 쿠드렌코
성공 하르첸코
성공 삼살리에프
성공 시디코프
성공 에센쿨 울루
실패 (골키퍼 선방) 아민

요르단 요르단이 합계 2-2, 승부차기 6-5 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8경기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 5 – 0 베트남 베트남
마타르 13분에 득점 13′
알마리 40분에 득점 40′
알셰히 53분에 득점 53′
알다르마키 90분에 득점 90′
알카스 90+4분에 득점 90+4′ (페널티킥)
리포트

아랍에미리트 아랍에미리트가 합계 6-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9경기


바레인 4 – 1 말레이시아 말레이시아
파타디 4분에 득점 4′
15분에 득점 15′
압둘라만 55분에 득점 55′
후바일 90분에 득점 90′ (페널티킥)
리포트 부냐민 오마르 45+2분에 득점 45+2′


바레인이 합계 4-1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10경기


동티모르 동티모르 2 – 3 홍콩 홍콩
다 실바 41분, 69분에 득점 41′69′ 리포트 쳉시우와이 25분, 50분에 득점 25′50′
에스테베스 35분에 득점 35′ (자책골)
기안야르, 기아냐르 경기장 (인도네시아)[6]
관중: 1,500

홍콩 홍콩 8 – 1 동티모르 동티모르
로콴이 2분에 득점 2′
찬시우키 5분, 78분, 85분에 득점 5′78′85′
장스하오 49분에 득점 49′
쳉시우와이 67분, 70분에 득점 67′70′
람카와이 83분에 득점 83′
리포트 다 실바 53분에 득점 53′
관중: 1,542

홍콩 홍콩이 합계 11-3으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1경기


시리아 시리아 3 – 0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알 제노 73분, 87분에 득점 73′87′ (페널티킥)
알 사예드 81분에 득점 81′ (페널티킥)
리포트

아프가니스탄 아프가니스탄 1 – 2 시리아 시리아
카리미 16분에 득점 16′ 리포트 제냐트 17분에 득점 17′
이스마엘 64분에 득점 64′

시리아 시리아가 합계 5-1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2경기


예멘 예멘 3 – 0 몰디브 몰디브
살렘 44분에 득점 44′
알 후바이쉬 66분에 득점 66′
타비트 80분에 득점 80′
리포트


예멘 예멘이 합계 3-2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3경기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1 – 1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미투 50분에 득점 50′ 리포트 카키모프 58분에 득점 58′ (페널티킥)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 5 – 0 방글라데시 방글라데시
카키모프 47분, 48분, 76분에 득점 47′48′76′ (페널티킥)
무키디노프 51분에 득점 51′
바시에프 71분에 득점 71′
리포트
관중: 10,000

타지키스탄 타지키스탄이 합계 6-1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4경기


몽골 몽골 1 – 4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셀렝지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박철민 14분에 득점 14′
정철민 24분, 32분, 81분에 득점 24′32′81′
울란바토르, 국립 스포츠 경기장
관중: 4,87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5 – 1 몽골 몽골
박철민 3분, 79분에 득점 3′79′
김국진 10분에 득점 10′
정철민 36분에 득점 36′
전광일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도노로프 41분에 득점 41′
관중: 5,000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합계 9-2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15경기


오만 오만 2 – 0 네팔 네팔
바시르 5분에 득점 5′
무다파 21분에 득점 21′ (페널티킥)
리포트

네팔 네팔 0 – 2 오만 오만
리포트 모하메드 29분에 득점 29′
알 히나이 54분에 득점 54′
카트만두, 다사라트 랑가살라 경기장
관중: 10,000

오만 오만이 합계 4-0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16경기


팔레스타인 팔레스타인 0 – 4 싱가포르 싱가포르
리포트 스자이 44분, 53분에 득점 44′53′
윌킨슨 73분에 득점 73′
노 알람 샤 86분에 득점 86′


싱가포르 싱가포르가 합계 7-0으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7경기


레바논 레바논 4 – 1 인도 인도
안타르 33분에 득점 33′
가다르 62분, 76분에 득점 62′76′
엘 알리 63분에 득점 63′
리포트 체트리 30분에 득점 30′

인도 인도 2 – 2 레바논 레바논
체트리 29분에 득점 29′
디아스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가다르 72분에 득점 72′ (페널티킥)
마르가오, 파토다 경기장[9]
관중: 10,000

레바논 레바논이 합계 6-3으로 3차 예선으로 진출함

18경기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 4 – 1 캄보디아 캄보디아
나시로프 41분에 득점 41′
게보르키안 50분, 66분에 득점 50′66′
카라도노프 74분에 득점 74′
리포트 나사 12분에 득점 12′

투르크메니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이 합계 5-1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19경기


괌 부전승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 인도네시아가 괌의 기권으로 2차 예선으로 진출함

같이 보기

각주

  1. 싱가포르와 팔레스타인의 경기는 팔레스타인 선수들이 경기에 참가하지 않아 팔레스타인의 0 - 3 몰수패로 처리되었다. 한편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는 가자 지구를 떠날 수 있는 허가를 받지 못한 선수를 핑계로 재경기를 요청하였으나, FIFA는 이 요청을 거절하였다.
  2. Bhutan out of 2010 race 보관됨 2013-10-05 - 웨이백 머신 FIFA; 2007년 9월 13일
  3. Indonesia goes straight through - Guam declines 보관됨 2008-05-11 - 웨이백 머신 (Indonesian) 인도네시아 축구 협회; 2007년 8월 7일
  4. 이라크는 이라크 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시리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5. 미얀마는 2007년 미얀마 반정부 시위와 관련된 안전 문제로 인해 중국과의 홈 경기를 중립 지대인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서 치렀다.
  6. 동티모르는 홈 경기를 인도네시아에서 치렀다.
  7. 아프가니스탄은 아프가니스탄 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타지키스탄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8.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으로 인한 안전 문제로 인해 카타르에서 홈 경기를 치렀다.
  9. 인도와 레바논의 경기는 원래 2007년 10월 28일첸나이에서 열릴 예정이었으나, 첸나이에 내린 폭우 때문에 일정이 연기되었고, 장소도 마르가오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