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AFC Champions League 2015
개최기간2015년 2월 4일 ~ 11월 21일
참가팀 (1 (AFC)개 대륙)
경기장46개 (40개 도시)
결과
우승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번째 우승)
준우승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두바이)
통계
최다 득점브라질 히카르두 골라르트
최우수 선수브라질 히카르두 골라르트
« 2014
2016 »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아시아 국가의 최정상 팀이 참가하는 34번째 대회(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포함)이자 현재의 AFC 챔피언스리그 구성으로는 13회째를 맞는 아시아 국가들의 클럽대항전이다. 우승 팀은 FIFA 클럽 월드컵 2015에 참가한다.

출전권 배정

기준 충족 국가
기준 미충족 국가

AFC컵 참가 대상 국가의 클럽이 조별 리그에 진출할 경우 차순위 팀이 해당 팀을 대신하여 AFC컵 2014의 조별 리그에 참가하게 된다.

* 이라크와 레바논, 시리아는 출전권을 분배받았지만,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한 클럽이 없어 출전권이 박탈되었다.

참가 팀

  • * 리그 상위팀들이 컵대회를 우승함에 따라 차순위 팀들이 진출하게 된다.
  • **베트남 컵 2014에서 우승한 하이퐁 FC가 클럽 라이센싱 기준을 통과하지 못해 리그 준우승팀이 참가하게 되었다.

일정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대회 경기 일정은 다음과 같다.[2]

단계 라운드 추첨 일자 1차전 2차전
플레이오프 1라운드 2014년 12월 11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2015년 2월 4일
2라운드 2015년 2월 10일
3라운드 2015년 2월 17일
조별 예선 1차전 2015년 2월 24일 ~ 2월 25일
2차전 2015년 3월 3일 ~ 3월 4일
3차전 2015년 3월 17일 ~ 3월 18일
4차전 2015년 4월 7일 ~ 4월 8일
5차전 2015년 4월 21일 ~ 4월 22일
6차전 2015년 5월 5일 ~ 5월 6일
토너먼트전 16강전 2015년 5월 19일 ~ 5월 20일 2015년 5월 26일 ~ 5월 27일
8강전 6월 18일 2015년 8월 25일 ~ 8월 26일 2015년 9월 15일 ~ 9월 16일
준결승전 2015년 9월 29일 ~ 9월 30일 2015년 10월 20일 ~ 10월 21일
결승전 2015년 11월 7일 2015년 11월 21일

플레이오프

순위가 높은 축구 협회에 속해 있는 팀의 홈 구장에서 단판 승부로 진행되며 90분 내에 승부가 나지 않으면 연장전, 승부차기가 진행된다. 플레이오프 승자는 조별 예선에 진출한다. 플레이오프에서 탈락하는 팀 중 2015 AFC컵 참가 대상인 팀은 AFC컵 조별 라운드 출전 자격을 얻는다.

서아시아

2라운드

팀 1 결과 팀 2
알카디시야 쿠웨이트 1 – 0 요르단 알웨흐다트
알자이시 카타르 2 – 1 오만 알나흐다
알사드 카타르 0 – 0 (연장)
(승부차기 11 – 10)
바레인 리파
알카디시야 쿠웨이트 1 – 0 요르단 알웨흐다트
  • 압둘라 59분에 득점 59′
쿠웨이트 S.C. 스타디움
관중: 9,200

알자이시 카타르 2 – 1 오만 알나흐다
  • 히베이루 79분에 득점 79′
  • 호마리뉴 90분에 득점 90′
  • 보울라니 4분에 득점 4′
알가라파 스타디움
관중: 5,507

알사드 카타르 0 – 0 (연장전) 바레인 리파
승부차기
11 – 10
셰이크 자심 빈 하마드 스타디움
관중: 2,500

3라운드

팀 1 결과 팀 2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연장전) 쿠웨이트 알카디시야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0 카타르 알자이시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2 – 1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4 – 4 (연장전)
(승부차기 4 – 5)
카타르 알사드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연장전) 쿠웨이트 알카디시야
리포트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0 카타르 알자이시
  • 몬타하리 50분에 득점 50′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2 – 1 아랍에미리트 알자지라
리포트

알와흐다 아랍에미리트 4 – 4 (연장전) 카타르 알사드
  • 디아즈 8분에 득점 8′
  • 오마르 72분에 득점 72′
  • 알셰히 90+2분에 득점 90+2′
  • 마타르 18분에 득점 18′
리포트
승부차기
4 – 5
관중: 4,208
심판: 오만 압둘라 알힐랄리

동아시아

1라운드

팀 1 결과 팀 2
야다나본 미얀마 1 – 1 (연장전)
(승부차기 5 – 6)
싱가포르 워리어스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2 – 1 (연장전) 인도 벵갈루루
야다나본 미얀마 1 – 1 (연장전) 싱가포르 워리어스
  • 예 윈 아웅 102분에 득점 102′
  • 앤디 윈 아흐마드 99분에 득점 99′
승부차기
5 – 6
관중: 21,400
심판: 하메드 모메니

조호르 다룰 탁짐 말레이시아 2 – 1 (연장전) 인도 벵갈루루
  • 해리스 하런 47분에 득점 47′
  • 찬투루 수피아 97분에 득점 97′
  • 유진슨 90분에 득점 90′
스타디움 조호르
관중: 17,455
심판: 압둘 가푸르 압둘 하미드

2라운드

팀 1 결과 팀 2
하노이 T&T 베트남 4 – 0 인도네시아 페르십 반둥
촌부리 태국 4 – 1 홍콩 킷치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3 – 0 싱가포르 워리어스
방콕 글라스 태국 3 – 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하노이 T&T 베트남 4 – 0 인도네시아 페르십 반둥
  • 마론클레 34분, 57분에 득점 34′57′
  • 삼손 47분, 71분에 득점 47′71′
미 딘 스타디움
관중: 2,500
심판: 재러드 질릿

촌부리 태국 4 – 1 홍콩 킷치
  • 아숨프상 8분, 39분, 55분에 득점 8′39′55′
  • 누룰 27분에 득점 27′
  • 완 춘 35분에 득점 35′
촌부리 스타디움
관중: 3,432
심판: 김상우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3 – 0 싱가포르 워리어스
예지우 스타디움
관중: 7,883
심판: 미노루 토조

방콕 글라스 태국 3 – 0 말레이시아 조호르 다룰 탁짐
  • 나롱 28분에 득점 28′
  • 카임비 52분, 62분에 득점 52′62′

3라운드

팀 1 결과 팀 2
FC 서울 대한민국 7 – 0 베트남 하노이 T&T
가시와 레이솔 일본 3 – 2 (연장전) 태국 촌부리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1 – 3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3 – 0 태국 방콕 글라스
FC 서울 대한민국 7 – 0 베트남 하노이 T&T
리포트
관중: 6,718
심판: 일본 사토 류지

가시와 레이솔 일본 3 – 2 (연장전) 태국 촌부리
리포트
  • 아숨프상 10분에 득점 10′
  • 크로에크릿 65분에 득점 65′
관중: 6,324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피터 그린

센트럴코스트 매리너스 오스트레일리아 1 – 3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 트리피로 90+2분에 득점 90+2′
리포트
  • 장닝 8분에 득점 8′
  • 루린 57분에 득점 57′
  • 로스 89분에 득점 89′ (o.g)
블루텅 경기장
관중: 2,776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3 – 0 태국 방콕 글라스
  • 송보쉬안 17분에 득점 17′
  • 바타야 64분에 득점 64′ (페널티)
리포트
관중: 21,017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조별 리그

각 클럽은 홈과 원정으로 같은 조의 세 클럽들과 두 번씩, 총 여섯 번의 경기를 한다. 승리시 승점 3점, 무승부시 승점 1점을 얻는다. 만약 승점이 같은 팀이 있을 경우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동점자를 가린다.

  1.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상대 전적이 앞서는 팀
  2.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골득실차가 더 높은 팀
  3.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다득점을 한 팀
  4. 승점이 같은 팀 간 경기에서 원정 다득점을 한 팀
  5. 1~4의 기준을 적용하였음에도 여전히 순위가 같으면 1~4 기준을 순위가 같은 팀 안에서 다시 적용한다. 그럼에도 순위가 같을 경우 아래의 기준을 따른다.
  6. 조별 리그에서의 골득실차
  7. 조별 리그에서의 다득점
  8. 승점이 같은 팀끼리의 승부차기
  9. 조별 리그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으로 인한 점수가 가장 적은 팀 (경고 1점, 경고 누적 퇴장 3점, 직접 퇴장 3점, 경고 후 직접 퇴장 4점)
  10. 해당 팀이 소속된 국가의 AFC 랭킹

각 조의 1위 팀과 2위 팀만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한다.

A조

경기 승점
카타르 레크위야 6 4 1 1 9 5 +4 13
이란 페르세폴리스 6 4 0 2 7 7 0 12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6 2 2 2 7 6 +1 8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6 0 1 5 2 7 -5 1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이란 우즈베키스탄
알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1 – 3 3 – 0 1 – 1
레크위야 카타르 1 – 1 3 – 0 1 – 0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0 3 – 0 2 – 1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0 – 1 0 – 1
페르세폴리스 이란 3 – 0 카타르 레크위야
리포트
관중: 15,350
심판: 스리랑카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알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1 – 1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리포트
  • 우린보에프 14분에 득점 14′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관중: 21,285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레크위야 카타르 1 – 1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카타르 레크위야
리포트
관중: 3,840
심판: 일본 이이다 준페이
알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3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리포트
관중: 100,000
심판: 중화인민공화국 마닝
레크위야 카타르 1 – 0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리포트
관중: 3,188
심판: 오만 압둘라 알힐랄리

레크위야 카타르 3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리포트
부뇨드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사우디아라비아 알나스르
리포트
관중: 3,153
심판: 홍콩 리우 콱 만

알나스르 사우디아라비아 1 – 3 카타르 레크위야
  • 알라에브 36분에 득점 36′
리포트
페르세폴리스 이란 2 – 1 우즈베키스탄 부뇨드코르
  • 누리 69분에 득점 69′ (페널티)* 유라바에프 90+3분에 득점 90+3′ (o.g)
리포트

B조

경기 승점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6 3 3 0 7 2 +5 12
이란 나프트 테헤란 6 2 2 2 8 8 0 8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6 1 3 2 6 8 -2 6
사우디아라비아 알샤바브 6 1 2 3 5 8 -3 5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이란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 – 2 0 – 1 2 – 1
알샤바브 사우디아라비아 2 – 2 0 – 1 0 – 3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 – 1 0 – 0 3 – 0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1 2 – 1 1 – 1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2 – 1 이란 나프트 테헤란
  • 마카라제 48분에 득점 48′
  • 세르게에프 85분에 득점 85′
리포트
  • 고르바니 59분에 득점 59′
관중: 4,913
심판: 일본 마사아키 토마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샤바브
리포트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 쿠로시 50분에 득점 50′
리포트
관중: 3,300
심판: 중화인민공화국 탄하이
알샤바브 사우디아라비아 2 – 2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리포트
  • 세르게에프 62분에 득점 62′
  • 마카라제 71분에 득점 71′ (페널티)
관중: 5,404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피터 그린

파흐타코르 우즈베키스탄 0 – 1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관중: 8,675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나프트 테헤란 이란 2 – 1 사우디아라비아 알샤바브
  • 모타하리 86분에 득점 86′* 파도바니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관중: 1,560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1 – 1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 켐보 20분에 득점 20′
리포트
  • 세르게에프 45+2분에 득점 45+2′
관중: 6,872
심판: 카타르 파하드 알마리
알샤바브 사우디아라비아 0 – 3 이란 나프트 테헤란
리포트
  • 아미리 57분에 득점 57′
  • 모타하리 83분에 득점 83′
  • 알리야리 90+1분에 득점 90+1′
관중: 5,035
심판: 스리랑카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알샤바브 사우디아라비아 0 – 1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관중: 1,977
심판: 일본 도조 미노루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1 우즈베키스탄 파흐타코르
리포트
  • 코자크 36분에 득점 36′
관중: 1,840
심판: 대한민국 김상우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3 – 0 이란 나프트 테헤란
리포트
관중: 4,299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피터 그린

C조

경기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6 4 1 1 9 4 +5 13
카타르 알사드 6 3 1 2 9 9 0 10
이란 풀라드 6 1 3 2 2 4 -2 6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6 1 1 4 10 13 -3 4
  이란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
풀라드 이란 1 – 0 0 – 0 0 – 0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1 – 1 0 – 2 5 – 0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2 – 0 3 – 1 2 – 1
알사드 카타르 1 – 0 6 – 2 1 – 0
풀라드 이란 0 – 0 카타르 알사드
리포트
관중: 37,843
심판: 대한민국 김상우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1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 카리리 11분에 득점 11′
  • 알살렘 14분에 득점 14′
  • 치아구 네베스 71분에 득점 71′
리포트
  • 미르자예프 39분에 득점 39′
관중: 17,440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1 – 1 이란 풀라드
  • 조테에프 6분에 득점 6′
리포트
  • 자마아티 32분에 득점 32′
알사드 카타르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관중: 6,843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풀라드 이란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관중: 37,452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재러드 질릿
알사드 카타르 6 – 2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리포트
  • 코야셰비치 56분에 득점 56′
  • 야수르 하사노프 77분에 득점 77′ (페널티)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5 – 0 카타르 알사드
  • 비크마에프 7분, 14분에 득점 7′14′* 쇼아크메도프 55분에 득점 55′* 코야셰비치 79분에 득점 79′* 코리안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관중: 3,852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2 – 0 이란 풀라드
리포트
관중: 20,087
심판: 일본 도마 마사아키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우즈베키스탄 1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 압두콜리코프 90+4분에 득점 90+4′
리포트
  • 알리 아베드 56분에 득점 56′
  • 알조리 72분에 득점 72′
관중: 3,974
심판: 말레이시아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알사드 카타르 1 – 0 이란 풀라드
리포트

풀라드 이란 1 – 0 우즈베키스탄 로코모티프 타슈켄트
관중: 2,142
심판: 중국 마닝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2 – 1 카타르 알사드
관중: 9,394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D조

경기 승점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6 3 3 0 11 7 +4 12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6 2 2 2 8 8 0 8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6 2 2 2 5 5 0 8
이란 트락토르 사지 6 1 1 4 7 11 -4 4
  아랍에미리트 이란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3 – 2 0 – 0 3 – 3
트락토르 사지 이란 1 – 0 1 – 2 2 – 2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0 – 1 2 – 1 0 – 0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2 – 0 2 – 1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2 – 1 이란 트락토르 사지
  • 쇼무로도프 46분에 득점 46′
  • 카리모프 52분에 득점 52′
리포트
  • 에지뉴 32분에 득점 32′
카르시 경기장
관중: 11,160
심판: 오만 압둘라 알힐랄리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3 – 3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 오스발도 2분에 득점 2′* 알모가위 41분에 득점 41′* 알자셈 57분에 득점 57′
관중: 7,200
심판: 일본 도조 미노루

트락토르 사지 이란 1 – 0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 암하자데흐 40분에 득점 40′
리포트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 25,830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리포트
  • 주웨르키안 65분에 득점 65′
관중: 19,855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스트레브르 델로프스키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0 – 0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0 이란 트락토르 사지
  • 알자심 72분, 80분에 득점 72′80′
리포트
관중: 45,482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트락토르 사지 이란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 에지뉴 60분에 득점 60′
  • 세게비 77분에 득점 77′
리포트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 32,500
심판: 일본 사토 류지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0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카르시 경기장
관중: 15,500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트락토르 사지 이란 1 – 2 우즈베키스탄 나사프 카르시
  • 키아니 52분에 득점 52′
리포트
  • 게보르키안 59분, 71분에 득점 59′71′
아데가르 에맘 스타디움
관중: 15,000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관중: 15,842
심판: 카타르 압둘라 발리데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3 – 2 이란 트락토르 사지
관중: 3,540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나사프 카르시 우즈베키스탄 0 – 0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카르시 경기장
관중: 16,000
심판: 일본 도마 마사아키

E조

경기 승점
일본 가시와 레이솔 6 3 2 1 14 9 +5 11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6 3 2 1 14 6 +8 11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루넝 6 2 1 3 13 17 -4 7
베트남 빈즈엉 6 1 1 4 6 15 -9 4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베트남 일본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4 – 1 3 – 0 0 – 0
산둥 루넝 중화인민공화국 1 – 4 3 – 1 4 – 4
빈즈엉 FC 베트남 1 – 1 2 – 3 1 – 0
가시와 레이솔 일본 3 – 2 2 – 1 1 – 0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0 – 0 일본 가시와 레이솔
리포트
빈즈엉 FC 베트남 2 – 3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루넝
  • 오세니 48분에 득점 48′* 왕창 56분에 득점 56′ (o.g)
리포트
빈즈엉 경기장
관중: 8,913

산둥 루넝 중화인민공화국 1 – 4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리포트
가시와 레이솔 일본 5 – 1 베트남 빈즈엉 FC
리포트
  • 오세니 82분에 득점 82′
관중: 5,694
심판: 카타르 파하드 알마리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3 – 0 베트남 빈즈엉
리포트
관중: 6,704
심판: 카타르 압둘라 발루시
가시와 레이솔 일본 2 – 1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루넝
리포트

빈즈엉 FC 베트남 1 – 1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 디엥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빈즈엉 경기장
관중: 4,000
심판: 오스트레일리아 재레드 길레트
산둥 루넝 중화인민공화국 4 – 4 일본 가시와 레이솔
리포트

가시와 레이솔 일본 3 – 2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리포트
산둥 루넝 중화인민공화국 3 – 1 베트남 빈즈엉 FC
  • 양쉬 27분, 70분에 득점 27′70′* 주니오르 우르수 61분에 득점 61′
리포트
  • 응우옌쫑호앙 19분에 득점 19′
관중: 12,566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4 – 1 중화인민공화국 산둥 루넝
리포트
  • 왕퉁 45+1분에 득점 45+1′
관중: 11,131명
심판: 스리랑카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빈즈엉 FC 베트남 1 – 0 일본 가시와 레이솔
리포트
빈즈엉 경기장
관중: 4,600명

F조

경기 승점
일본 감바 오사카 6 3 1 2 10 7 +3 10
대한민국 성남 FC 6 3 1 2 7 5 +2 10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6 3 1 2 12 7 +5 10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6 1 1 4 3 13 -10 4
  일본 대한민국 태국 중화인민공화국
감바 오사카 일본 2 – 1 1 – 1 0 – 2
성남 FC 대한민국 2 – 0 2 – 1 0 – 0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1 – 2 2 – 1 5 – 0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0 – 5 0 – 1 1 – 2

감바 오사카 일본 0 – 2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리포트
  • 함달라 10분에 득점 10′* 왕송 80분에 득점 80′
관중: 8,848
심판: 이란 모센 토르키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2 – 1 대한민국 성남 FC
리포트
  • 나루바딘 88분에 득점 88′ (o.g)
관중: 8,959
심판: 아랍에미리트 압둘라 하산 모하메드

성남 FC 대한민국 2 – 0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1 – 2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 뤼린 27분에 득점 27′
리포트
웨슈산 체육장
관중: 9,308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0 – 1 대한민국 성남 FC
리포트
웨슈산 체육장
관중: 8,638
심판: 카타르 파하드 알마리

감바 오사카 일본 1 – 1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리포트
관중: 6,469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1 – 2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관중: 23,987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성남 FC 대한민국 0 – 0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리포트

성남 FC 대한민국 2 – 1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리포트
광저우 푸리 중화인민공화국 0 – 5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웨슈산 체육장
관중: 8,647
심판: 요르단 아드함 마카드메

감바 오사카 일본 2 – 1 대한민국 성남 FC
리포트
부리람 유나이티드 태국 5 – 0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푸리
리포트
관중: 17,331명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G조

경기 승점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궈안 6 3 2 1 6 3 +3 11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6 3 2 1 11 8 +3 11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6 2 1 3 7 9 -2 7
일본 우라와 레즈 6 1 1 4 5 9 -4 4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대한민국 중화인민공화국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1 – 2 3 – 3 0 – 1
우라와 레즈 일본 0 – 1 1 – 2 1 – 1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3 – 1 2 – 1 1 – 1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0 – 1 2 – 0 1 – 0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0 – 1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궈안
리포트 사오자이 90+2분에 득점 90+2′
관중: 6,851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2 – 1 일본 우라와 레즈
리포트
관중: 13,846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1 – 0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리포트
관중: 35,567
심판: 스리랑카 헤티캄카남게 페레라
우라와 레즈 일본 0 – 1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 보렐로 3분에 득점 3′
관중: 13,527
심판: 우즈베키스탄 일기즈 탄타셰프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2 – 0 일본 우라와 레즈
리포트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3 – 3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 보렐로 13분에 득점 13′
  • 클럿 22분, 80분에 득점 22′80′
리포트
관중: 5,197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3 – 1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관중: 6,771
심판: 카타르 압둘라만 알자심
우라와 레즈 일본 1 – 1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궈안
리포트
관중: 13,683
심판: 카타르 압둘라 발리데

우라와 레즈 일본 1 – 2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리포트
관중: 13,924
심판: 오만 아흐메드 알카프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0 – 1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로어
리포트
관중: 35,578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브리즈번 로어 오스트레일리아 1 – 2 일본 우라와 레즈
리포트
관중: 5,941명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1 – 1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궈안
리포트

H조

경기 승점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6 3 1 2 9 9 0 10
대한민국 FC 서울 6 2 3 1 5 4 +1 9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6 2 2 2 9 7 +2 8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6 2 0 4 10 13 -3 6
  중화인민공화국 오스트레일리아 일본 대한민국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0 – 2 4 – 3 1 – 0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 – 3 1 – 2 1 – 1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2 – 1 1 – 3 2 – 3
FC 서울 대한민국 0 – 0 0 – 0 1 – 0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1 – 3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리포트
  • 쇼지 54분에 득점 54′ (o.g)
  • 다카하기 85분에 득점 85′
  • 브릿지 90+3분에 득점 90+3′
관중: 7,736
심판: 사우디아라비아 파하드 알미르다시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1 – 0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관중: 46,749

FC 서울 대한민국 1 – 0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리포트
관중: 5,790
심판: 이란 알리레자 파가니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2 – 3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11,418
심판: 말레이시아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FC 서울 대한민국 0 – 0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리포트
관중: 5,645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4 – 3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관중: 48,651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1 – 1 대한민국 FC 서울
  • 불루트 12분에 득점 12′
리포트
관중: 7,073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2 – 1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7,033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웨스턴 시드니 오스트레일리아 1 – 2 일본 가시마 앤틀러스
  • 루카비츠야 24분에 득점 24′
리포트
관중: 5,221
심판: 카타르 카미스 알마리
FC 서울 대한민국 0 – 0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17,157
심판: 카타르 압둘라만 알자심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0 – 2 오스트레일리아 웨스턴 시드니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관중: 35,641명
가시마 앤틀러스 일본 2 – 3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관중: 19,233명
심판: 오만 압둘라 알힐랄리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16강전은 조별 예선의 결과에 따라 각 조 1위와 다른 조 2위와 각각 맞붙으며 각 조 2위의 홈에서 1차전이 치러지고 각 조 1위의 홈에서 2차전이 치러진다.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사드 카타르 3 – 4 카타르 레크위야 1 – 2 2 – 2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3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1 – 0 0 – 3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3 – 3 (a)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0 – 0 3 – 3
나프트 테헤란 이란 2 – 2 (a)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1 – 0 1 – 2
동아시아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4 – 4 (a) 일본 가시와 레이솔 2 – 3 2 – 1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2 – 1 중국 베이징 궈안 1 – 1 1 – 0
FC 서울 대한민국 3 – 6 일본 감바 오사카 1 – 3 2 – 3
성남 FC 대한민국 2 – 3 중국 광저우 헝다 2 – 1 0 – 2

1경기

알사드 카타르 1 – 2 카타르 레크위야
리포트

레크위야 카타르 2 – 2 카타르 알사드
리포트
관중: 4,241명
심판: 일본 도마 마사아키

2경기

페르세폴리스 이란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 디가오 90+2분에 득점 90+2′ (o.g)
리포트
관중: 100,000명
심판: 말레이시아 나고르 아미르 누르 모하메드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0 이란 페르세폴리스
  • 알살렘 29분에 득점 29′
  • 알샬후브 57분에 득점 57′ (페널티)
  • 알도사리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관중: 23,590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3경기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0 – 0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리포트
관중: 8,900명
심판: 대한민국 고형진

알아인 아랍에미리트 3 – 3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 5분, 78분에 득점 5′78′
  • 에이사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 카미스 51분에 득점 51′
  • 칼릴 53분, 56분에 득점 53′56′
관중: 14,270명
심판: 이라크 모하나드 카림 에시 샤라이

4경기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0 사우디아라비아 알아흘리
리포트

알아흘리 사우디아라비아 2 – 1 이란 나프트 테헤란
리포트
  • 파도바니 31분에 득점 31′
관중: 35,488명
심판: 대한민국 김동진

5경기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2 – 3 일본 가시와 레이솔
리포트
관중: 6,164명
심판: 아랍에미리트 암마르 알제네이비

가시와 레이솔 일본 1 – 2 대한민국 수원 삼성 블루윙즈
리포트

6경기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1 – 1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 궈안
리포트
관중: 12,409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베이징 궈안 중화인민공화국 0 – 1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리포트

7경기

FC 서울 대한민국 1 – 3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감바 오사카 일본 3 – 2 대한민국 FC 서울
리포트

8경기

성남 FC 대한민국 2 – 1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13,792명
심판: 이란 모센 토르키

광저우 헝다 중화인민공화국 2 – 0 대한민국 성남 FC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 48,761명

8강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6 – 3 카타르 레크위야 4 – 1 2 – 2
나프트 테헤란 이란 1 – 3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0 – 1 1 – 2
동아시아
가시와 레이솔 일본 2 – 4 중국 광저우 헝다 1 – 3 1 – 1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2 – 3 일본 감바 오사카 0 – 0 2 – 3

1경기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4 – 1 카타르 레크위야
  • 아이우통 11분에 득점 11′* 알카에비 34분에 득점 34′*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36분, 86분에 득점 36′86′
리포트

레크위야 카타르 2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 이스마일 모하마드 45+2분에 득점 45+2′
    치코 72분에 득점 72′
리포트
  •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26분에 득점 26′
    지강 87분에 득점 87′

2경기

나프트 테헤란 이란 0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리포트
  • 리마 62분에 득점 62′
관중: 23,300명
심판: 일본 도조 미노루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2 – 1 이란 나프트 테헤란
리포트
관중: 9,353명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3경기

가시와 레이솔 일본 1 – 3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광저우 헝다 중국 1 – 1 일본 가시와 레이솔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 48,643명

4경기

전북 현대 모터스 대한민국 0 – 0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감바 오사카 일본 3 – 2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리포트

준결승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서아시아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3 – 4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1 – 1 2 – 3
동아시아
광저우 헝다 중국 2 – 1 일본 감바 오사카 2 – 1 0 – 0

1경기

알힐랄 사우디아라비아 1 – 1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 아이우통 82분에 득점 82′
리포트
  • 호드리구 리마 57분에 득점 57′
관중: 53,268명
심판: 우즈베키스탄 발렌틴 코발렌코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3 – 2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리포트

2경기

광저우 헝다 중국 2 – 1 일본 감바 오사카
리포트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 48,946명

감바 오사카 일본 0 – 0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결승전

팀 1 합계 팀 2 1차전 2차전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0 – 1 중국 광저우 헝다 0 – 0 0 – 1
알아흘리 아랍에미리트 0 – 0 중국 광저우 헝다
리포트
관중: 9,480명
심판: 대한민국 김종혁

광저우 헝다 중국 1 – 0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텐허 스타디움, 광저우
관중: 42,499명

우승

2015년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중화인민공화국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2번째 우승

득점 선수

순위 이름 소속팀 조별 리그 16강 8강 4강 결승 총득점
1 2 3 4 5 6 1 2 1 2 1 2 1 2
1 브라질 히카르두 골라르트 중국 광저우 헝다 타오바오 1 3 2 2 8
2 중국 양쉬 중국 산둥 루넝 2 1 1 2 6
아랍에미리트 아흐메드 칼릴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1 2 2 1 6
3 시리아 오마르 알소마 사우디아라비아 일아흘리 1 2 2 5
가나 아사모아 잔 아랍에미리트 알아인 1 1 1 2 5
튀니지 유세프 므사크니 카타르 레크위야 1 1 1 1 1 5
7 대한민국 이동국 대한민국 전북 현대 모터스 2 2 4
일본 우사미 다카시 일본 감바 오사카 1 1 2 4
일본 구도 마사토 일본 가시와 레이솔 2 1 1 4
브라질 지오구 태국 부리람 유나이티드 1 3 4
브라질 파트릭 일본 감바 오사카 2 1 1 4
브라질 카를루스 에두아르두 사우디아라비아 알힐랄 2 1 1 4
브라질 리마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1 1 1 1 4
브라질 이베르통 히베이루 아랍에미리트 알아흘리 1 1 1 1 4

  • 플레이오프의 득점은 포함되지 않았다.

같이 보기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