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 D조는 2023년 7월 22일부터 8월 1일까지 일정이 진행되었다.[1] 이 조는 잉글랜드, 아이티, 덴마크, 중화인민공화국으로 구성되었다. 상위 두 팀인 잉글랜드와 덴마크가 16강전에 진출했다.[2]
팀
- 참고
- ↑ 2022년 10월 랭킹은 본선 조편성에 반영되었다.
순위
순위
|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통과
|
1
|
잉글랜드
|
3
|
3
|
0
|
0
|
8
|
1
|
+7
|
9
|
녹아웃 토너먼트 진출
|
2
|
덴마크
|
3
|
2
|
0
|
1
|
3
|
1
|
+2
|
6
|
3
|
중화인민공화국
|
3
|
1
|
0
|
2
|
2
|
7
|
−5
|
3
|
|
4
|
아이티
|
3
|
0
|
0
|
3
|
0
|
4
|
−4
|
0
|
경기
잉글랜드 vs 아이티
관중: 44,369명
심판: 에미카르 칼데라스 바레라 (베네수엘라)
최우수 선수:
조지아 스탠웨이 (잉글랜드)
부심:
미그달리아 로드리게스 치리노 (베네수엘라)
마리 블랑코 볼리바르 (콜롬비아)
대기심:
마리아넬라 아라야 (코스타리카)
비디오 판독심:
후안 소토 (베네수엘라)
보조 비디오 판독심:
니콜라스 가요 (콜롬비아)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네우자 바크 (브라질)
|
덴마크 vs 중화인민공화국
잉글랜드 vs 덴마크
최우수 선수:
로렌 제임스 (잉글랜드)
부심:
루치에 라타요바 (체코)
폴릭세니 이로도투 (키프로스)
대기심:
오현정 (대한민국)
비디오 판독심:
타티아나 구스만 (니카라과)
보조 비디오 판독심:
캐롤 앤 체너드 (캐나다)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캐쓰린 네스빗 (미국)
|
중화인민공화국 vs 아이티
최우수 선수:
왕솽 (중국)
부심:
과달루페 포라스 아유소 (스페인)
사냐 로작-카르시치 (크로아티아)
대기심:
마리아넬라 아라야 (코스타리카)
비디오 판독심:
알레한드로 에르난데스 에르난데스 (스페인)
보조 비디오 판독심:
후안 마르티네스 무누에라 (스페인)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마리아나 데 알메이다 (아르헨티나)
|
중화인민공화국 vs 잉글랜드
최우수 선수:
로렌 제임스 (잉글랜드)
부심:
라미나 초이 (키르기스스탄)
헤바 사디에 (팔레스타인)
대기심:
마리아넬라 아라야 (코스타리카)
비디오 보조심판:
후안 소토 (베네수엘라)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다이아니 무니스 두스 산투스 (브라질)
오프사이드 비디오 판독심:
셜리 페레요 (온두라스)
|
아이티 vs 덴마크
경고 기록
페어플레이 점수는 팀의 전체 기록과 대결 기록이 같으면 타이브레이커가 적용된다. 다음과 같이 조별리그에서 받은 경고와 퇴장을 기반으로 계산한다:[2]
- 첫번째 경고: 1점 감점;
- 경고 누적으로 인한 퇴장: 3점 감점;
- 즉각 퇴장: 4점 감점;
- 경고 후 즉각 퇴장 5점 감점;
단일 경기에서 한 선수에게 위의 감점 중 하나만 적용된다.
각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