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DFj-39546284
UDFj-39546284 | |
![]() UDFj-39546284 은하의 허블우주망원경 사진 | |
위치 | |
---|---|
별자리 | 화로자리 |
적경 | 03h 32m 39.54s |
적위 | -27° 46′ 28.4″ |
물리적 성질 | |
적색편이량 | 10.38[1] |
시선 속도 | 295,133 km/s |
거리 | 134억 2000만 광년(40억 2600만 파섹) |
후퇴거리 | 327억 광년(98억 1000만 파섹) |
형태 | 원시 은하 |
규모 | |
지름(광년) | ~600 |
광학적 성질 | |
겉보기등급 | +28.9H |
절대등급 | ≥-12.9 |
기타 성질 | |
명칭 | UDFj-39546284 |
메시에 천체 목록 NGC 천체 목록 |
UDFj-39546284는 푸른 별들로 촘촘히 구성된 은하로서 약 132억 광년 떨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은하이다. 2016년까지 발견된 가장 멀리 떨어진 은하였다. 빅뱅 이후 약 4억 8천만년 이후의 모습으로 생각되며 이전까지 가장 먼 은하였던 UDFy-38135539 보다 대략 1억 5천만 광년 더 멀리 떨어져 있다.[2]
적색편이가 대략 10 정도 될 것으로 예상되나 광도가 약하여 UDFy-38135539와 같이 분광학적인 확인을 아직 받지 못하였으며 2014년경 발사될 것으로 예상되는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에 의해 확정될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2012년 VLT(Very Large Telescope)의 관측으로 적색편이가 z=11.9로 제안되었다가 2022년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의 분광 결과 z=10.38로 정정되었다.[1]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6/64/Hudf09z10nl.png/230px-Hudf09z10nl.png)
이번 발견은 빅뱅 이후 4억 8천만년에서 6억 5천만년까지 별들의 숫자가 10배 비율로 증가했다는 천문학자들의 추측을 뒷받침해주는 근거가 되었다. [3]
다음은 UDFj-39546284 발견 전까지의 가장 멀리 떨어진 은하들의 목록이다.
은하 | 날짜 | 적색편이량(z값) | 비고 |
---|---|---|---|
UDFj-39546284 | 2011 - | z=10.38 | 2012년 적색편이량이 10.3에서 11.9로 재계산되었다가[4][5] 2022년 10.38로 정정되었다. |
MACS0647-JD | 2011 - 2012 | z=10.7 | 초기에 UDFj-39546284의 적색편이가 z=10.3으로 발표되었을 때 z=10.7로 발표되어 가장 먼 은하가 되었으나 이후 UDFj-39546284의 분광학적 적색편이가 z=11.9로 개정 및 발표됨에 따라 2번째로 가장 먼 은하로 지정되었다. |
아벨 1835 IR1916 | 2004 - | z=10.0 | 사실상 2번째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적색편이량 z=10.0으로 UDFy-38135539의 8.89보다 더 높다. 그러나 이 값은 논쟁이 진행 중이고, 제미니 망원경 및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후속 관측이 연이어 실패하였다. |
UDFy-38135539 | 2010 − 2011 | z=8.11 | 2번째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이 은하는 IOK-1 및 GRB 090423보다 더 멀리 떨어져 있다.[6] |
A1689-zD1 | 2008 − 2010 | z=7.6 | 사실상 3번째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 아벨 1689에 속해 있다. 이 목록에서는 실었지만, 적색편이량 z=7.6이 분광학적 검증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 |
IOK-1 | 2006 − 2008 | z=6.96 | 3번째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다.이후 가장 멀리 떨어지 은하의 지위를 A1689-zD1이 차지하게 된다.[6][7][8] |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Robertson, B. E.; 외. (December 2022). “Discovery and properties of the earliest galaxies with confirmed distances”. arXiv:2212.04480.
- ↑ “NASA's Hubble Finds Most Distant Galaxy Candidate Ever Seen in Universe”. Nasa. 2011년 1월 26일.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A candidate redshift z ~ 10 galaxy and rapid changes in that population at an age of 500 Myr”. Cornell University Library. 2011년 1월 30일.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
- ↑ Hubble, "Hubble finds a new contender for galaxy distance record" Archived 2012년 6월 5일 - 웨이백 머신, 26 January 2011
- ↑ Wall, Mike (2012년 12월 12일). “Ancient Galaxy May Be Most Distant Ever Seen”. Space.com. 2012년 12월 12일에 확인함.
- ↑ 가 나 Lehnert, M. D.; Nesvadba, N. P. H.; Cuby, J.-G.; Swinbank, A. M.; Morris, S.; Clément, B.; Evans, C. J.; Bremer, M. N.; Basa, S. (2010). “Spectroscopic confirmation of a galaxy at redshift z = 8.6”. 《Nature》 467 (7318): 940–942. arXiv:1010.4312. Bibcode:2010Natur.467..940L. doi:10.1038/nature09462. PMID 20962840.
- ↑ Nature 443, 186-188 (14 September 2006), A galaxy at a redshift z = 6.96, doi:10.1038/nature05104;
- ↑ Yoshi Taniguchi (2008). “Star Forming Galaxies at z > 5”.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3. arXiv:0804.0644. doi:10.1017/S1743921308020796.
외부 링크
- (한국어) “나사 "132억광년 떨어진 은하계 발견" 발표”. 한국경제. 2011년 1월 27일. 2011년 2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