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형 구아노신 일인산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2-amino-9-[(1S,6R,8R,9R)-3,9-dihydroxy-3-oxo-2,4,7-trioxa-3λ5-phosphabicyclo[4.3.0]nonan-8-yl]-3H-purin-6-one
| |
별칭
cGMP; 3',5'-cyclic GMP; Guanosine cyclic monophosphate; Cyclic 3',5'-GMP; Guanosine 3',5'-cyclic phospha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BI | |
ChEMB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8.765 |
MeSH | Cyclic+GMP |
PubChem CID
|
|
UNII |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C10H12N5O7P | |
몰 질량 | 345.208 g·mol−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고리형 구아노신 일인산(cyclic GMP, cGMP)은 구아노신 삼인산(GTP)에서 만들어지는 고리형 뉴클레오티드이다. 이는 세포 내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는 2차 신호전달자이다.
합성
구아닐산 고리화효소(Guanylate cyclase)가 GTP를 기질로 cGMP를 합성한다.
분해
인산이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Phosphodiesterase)에 의해 일어난다. 이 효소의 기능을 억제하여 cGMP의 신호전달 기능을 최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기부전 치료제 비아그라는 혈관 이완 작용의 신호전달경로에 작용하는 cGMP를 분해하는 인산이에스테르가수분해효소를 억제하여 혈관 확장을 유도하는데, 이는 발기를 촉진, 강화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같이 보기
-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
![]() |
이 글은 생물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