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FIFA 월드컵 성적

다음은 FIFA 월드컵에서 대한민국의 결과를 기록한 것이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1954년1986년 ~ 2022년까지 10번에 걸쳐 FIFA 월드컵 본선에 모습을 드러냈다. 아시아 팀 최초로 10회 연속이자 통산 11회 본선 진출을 이어가고 있으며, 최고 성적은 2002년 FIFA 월드컵에서 기록한 4위이다.

2022년까지 대한민국의 월드컵 통산 성적은 38전 7승 10무 21패로 승점 31점을 기록하고 있으며 39득점 78실점을 기록해 득실 차는 -39으로 멕시코와 함께 월드컵 출전국들 중 가장 낮은 득실 차를 기록하고 있다.

2002년 자국 대회에서 포르투갈,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강팀들을 연달아 격파하며 준결승 신화를 일궈냈고, 16년 후 2018년 FIFA 월드컵에서는 전 대회 챔피언 독일을 격침시켰다. 2022년까지 아시아 팀들 중에서 대한민국은 월드컵 최다 출전, 최다 승리, 최다 무승부, 최다 패배, 최다 득점, 최다 실점,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으며, 월드컵 역사상 처음으로 토너먼트 경기를 이긴 아시아 팀이다.

국제대회 기록

FIFA 월드컵 기록 예선 기록
연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명단 경기
우루과이 1930년 독립 이전 (일본 제국령 조선) 독립 이전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대회 불참 (6.25 전쟁) 대회 불참
스위스 1954년 조별리그 16위 2 0 0 2 0 16 명단 2 1 1 0 7 3
스웨덴 1958년 대회 불참 참가 신청서 분실[1]
칠레 1962년 지역 예선 탈락 4 2 0 2 6 9
잉글랜드 1966년 대회 불참 대회 불참
멕시코 1970년 지역 예선 탈락 4 1 2 1 6 5
서독 1974년 8 3 4 1 10 4
아르헨티나 1978년 12 5 6 1 16 9
스페인 1982년 3 2 0 1 7 4
멕시코 1986년 조별리그 20위 3 0 1 2 4 7 명단 8 7 0 1 17 3
이탈리아 1990년 22위 3 0 0 3 1 6 명단 11 9 2 0 30 1
미국 1994년 20위 3 0 2 1 4 5 명단 13 9 3 1 32 5
프랑스 1998년 30위 3 0 1 2 2 9 명단 12 9 2 1 28 8
대한민국 일본 2002년 4위 4위 7 3 2 2 8 6 명단 자동 진출 (개최국)
독일 2006년 조별리그 17위 3 1 1 1 3 4 명단 12 7 3 2 18 7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16강 15위 4 1 1 2 6 8 명단 14 7 7 0 22 7
브라질 2014년 조별리그 27위 3 0 1 2 3 6 명단 14 8 3 3 27 11
러시아 2018년 19위 3 1 0 2 3 3 명단 18 12 3 3 38 10
카타르 2022년 16강 16위 4 1 1 2 5 8 명단 16 12 3 1 35 4
캐나다 멕시코 미국 2026년 미정 6 5 1 0 20 1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 아르헨티나 우루과이 파라과이 2030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사우디아라비아 2034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border 링크= 2038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border 링크= 2042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border 링크= 2046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border 링크= 2050년 To be determined To be determined
합계 4위 11/19[a] 38 7 10 21 39 78 152 95 39 18 306 90
  1. FIFA 가맹연도인 1948년부터 계산.

1954년 FIFA 월드컵

2조

경기 승점
헝가리 2 2 0 0 17 3 +14 4
서독 서독 2 1 0 1 7 9 −2 2
튀르키예 2 1 0 1 8 4 +4 2
대한민국 2 0 0 2 0 16 −16 0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CET/UTC+1)

대한민국 0 – 9 헝가리
리포트 푸슈카시 12분, 89분에 득점 12′89′
런토시 18분에 득점 18′
코치시 24분, 36분, 50분에 득점 24′36′50′
치보르 59분에 득점 59′
팔로타시 75분, 83분에 득점 75′83′
취리히 하드텀 스타디움
관중: 18,000
심판: 뱅상티 (프랑스)

대한민국 0 – 7 튀르키예
리포트 수앗 10분, 30분에 득점 10′30′
레프테르 24분에 득점 24′
브루한 37분, 64분, 70분에 득점 37′64′70′
에롤 76분에 득점 76′
제네바, 스타드 드 샤르밀
관중: 17,150
심판: 에스테반 마리노 (우루과이)

1986년 FIFA 월드컵

A조

경기 승점
아르헨티나 3 2 1 0 6 2 +4 5
이탈리아 3 1 2 0 5 4 +1 4
불가리아 3 0 2 1 2 4 −2 2
대한민국 3 0 1 2 4 7 −3 1
대한민국 1 – 3 아르헨티나
박창선 73분에 득점 73′ 리포트 발다노 6분, 46분에 득점 6′46′
루헤리 18분에 득점 18′
관중: 60,000
심판: 아르미니오 빅토리아노 산체스 (스페인)

대한민국 1 – 1 불가리아
김종부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게토프 11분에 득점 11′

대한민국 2 – 3 이탈리아
최순호 62분에 득점 62′
허정무 88분에 득점 88′
리포트 알토벨리 17분, 73분에 득점 17′73′
조광래 82분에 득점 82′ (자책골)
콰우테모크 경기장 (푸에블라)
관중: 20,000

1990년 FIFA 월드컵

E조

경기 승점
스페인 3 2 1 0 5 2 +3 5
벨기에 3 2 0 1 6 3 +3 4
우루과이 3 1 1 1 2 3 −1 3
대한민국 3 0 0 3 1 6 −5 0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CEST/UTC+2)

대한민국 0 – 2 벨기에
리포트 데흐리서 53분에 득점 53′
더 볼프 64분에 득점 64′
관중: 32,790
심판: 빈센트 모로 미국

대한민국 1 – 3 스페인
황보관 42분에 득점 42′ 리포트 미첼 22분, 61분, 81분에 득점 22′61′81′
관중: 32,733
심판: 엘리아스 하코메 에콰도르

대한민국 0 – 1 우루과이
리포트 폰세카 90분에 득점 90′[2]

1994년 FIFA 월드컵

C조

경기 승점
독일 3 2 1 0 5 3 +2 7
스페인 3 1 2 0 6 4 +2 5
대한민국 3 0 2 1 4 5 −1 2
볼리비아 3 0 1 2 1 4 −3 1
대한민국 2 – 2 스페인
홍명보 85분에 득점 85′
서정원 90분에 득점 90′
리포트 살리나스 51분에 득점 51′
고이코에체아 55분에 득점 55′
관중: 56,247
심판: 페테르 미켈센 (덴마크)

대한민국 0 – 0 볼리비아
리포트
관중: 54,453
심판: 레즐리 모트럼 (스코틀랜드)

대한민국 2 – 3 독일
황선홍 52분에 득점 52′
홍명보 63분에 득점 63′
리포트 클린스만 12분, 37분에 득점 12′37′
리들레 20분에 득점 20′
관중: 63,998
심판: 조엘 키니우 (프랑스)

1998년 FIFA 월드컵

E조

경기 승점
네덜란드 3 1 2 0 7 2 +5 5
멕시코 3 1 2 0 7 5 +2 5
벨기에 3 0 3 0 3 3 0 3
대한민국 3 0 1 2 2 9 -7 1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CEST/UTC+2)

대한민국 1 – 3 멕시코
하석주 28분에 득점 28′ 리포트 펠라에스 51분에 득점 51′
에르난데스 74분, 84분에 득점 74′84′
관중: 39,133
심판: 귄터 벵쾨 (오스트리아)

대한민국 0 – 5 네덜란드
리포트 코퀴 38분에 득점 38′
오버르마르스 42분에 득점 42′
베르흐캄프 71분에 득점 71′
판 호이동크 80분에 득점 80′
R. 더 부르 83분에 득점 83′
관중: 55,000
심판: 리샤르트 부이치크 (폴란드)

대한민국 1 – 1 벨기에
유상철 71분에 득점 71′ 리포트 닐리스 7분에 득점 7′
관중: 45,500
심판: 마르시우 헤젠지 지 프레이타스 (브라질)

2002년 FIFA 월드컵

D조

경기 승점
대한민국 3 2 1 0 4 1 +3 7
미국 3 1 1 1 5 6 −1 4
포르투갈 3 1 0 2 6 4 +2 3
폴란드 3 1 0 2 3 7 −4 3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EAT/UTC+9)

대한민국 2 – 0 폴란드
황선홍 26분에 득점 26′
유상철 53분에 득점 53′
리포트

대한민국 1 – 1 미국
안정환 78분에 득점 78′ 리포트 매시스 24분에 득점 24′
관중: 60,778
심판: 우르스 마이어 (스위스)

대한민국 1 – 0 포르투갈
박지성 70분에 득점 70′ 리포트
관중: 50,239
심판: 앙헬 산체스 (아르헨티나)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대한민국 2 – 1
(서든데스 연장전)
이탈리아
설기현 88분에 득점 88′
안정환 117분에 득점 (연장전) 117′
리포트 비에리 18분에 득점 18′
관중: 38,588
심판: 비론 모레노 (에콰도르)

8강전

준결승전

대한민국 0 – 1 독일
리포트 발라크 75분에 득점 75′
관중: 65,256
심판: 우르스 마이어 (스위스)

3위 결정전

대한민국 2 – 3 튀르키예
이을용 9분에 득점 9′
송종국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하칸 Ş. 1분에 득점 1′
일한 13분, 32분에 득점 13′32′
관중: 63,483
심판: 사드 카밀 알파들리 (쿠웨이트)

2006년 FIFA 월드컵

G조

경기 승점
스위스 3 2 1 0 4 0 +4 7
프랑스 3 1 2 0 3 1 +2 5
대한민국 3 1 1 1 3 4 −1 4
토고 3 0 0 3 1 6 −5 0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CEST/UTC+2)

대한민국 2 – 1 토고
이천수 54분에 득점 54′
안정환 72분에 득점 72′
리포트 쿠바자 31분에 득점 31′
관중: 48,000
심판: 그래엄 폴 (잉글랜드)

대한민국 1 – 1 프랑스
박지성 81분에 득점 81′ 리포트 앙리 9분에 득점 9′

2010년 FIFA 월드컵

B조

경기 승점
아르헨티나 3 3 0 0 7 1 +6 9
대한민국 3 1 1 1 5 6 -1 4
그리스 3 1 0 2 2 5 −3 3
나이지리아 3 0 1 2 3 5 −2 1

모든 시간은 현지 시각 기준 (SAST/UTC+2)


대한민국 1 – 4 아르헨티나
이청용 45+1분에 득점 45+1′ 리포트 박주영 17분에 득점 17′ (자책골)
이과인 33분, 76분, 80분에 득점 33′76′80′[4]

결선 토너먼트

16강전

대한민국 1 – 2 우루과이
이청용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수아레스 8분, 80분에 득점 8′80′

2014년 FIFA 월드컵

H조

경기 승점
벨기에 3 3 0 0 4 1 +3 9
알제리 3 1 1 1 6 5 +1 4
러시아 3 0 2 1 2 3 −1 2
대한민국 3 0 1 2 3 6 −3 1
대한민국 1 – 1 러시아
이근호 68분에 득점 68′ 리포트 케르자코프 74분에 득점 74′
아레나 판타나우 (쿠이이바)
관중: 37,603

대한민국 2 – 4 알제리
손흥민 50분에 득점 50′
구자철 72분에 득점 72′
리포트 슬리마니 26분에 득점 26′
할리시 28분에 득점 28′
자부 38분에 득점 38′
브라히미 62분에 득점 62′

2018년 FIFA 월드컵

F조

경기 승점
스웨덴 3 2 0 1 5 2 +3 6
멕시코 3 2 0 1 3 4 -1 6
대한민국 3 1 0 2 3 3 0 3
독일 3 1 0 2 2 4 −1 3
대한민국 0 – 1 스웨덴
리포트 그랑크비스트 65분에 득점 65′ (페널티골)

대한민국 1 – 2 멕시코
손흥민 90+3분에 득점 90+3′ 리포트 벨라 26분에 득점 26′ (페널티골)
에르난데스 66분에 득점 66′

대한민국 2 – 0 독일
김영권 90+3분에 득점 90+3′
손흥민 90+6분에 득점 90+6′
리포트
관중: 41,835명

2022년 FIFA 월드컵

H조

경기 승점
포르투갈 3 2 0 1 6 4 +2 6
대한민국 3 1 1 1 4 4 0 4
우루과이 3 1 1 1 2 2 0 4
가나 3 1 0 2 5 7 −2 3
대한민국 0 – 0 우루과이
리포트
관중: 41,663명
심판: 클레망 튀르팽 (프랑스)

대한민국 2 – 3 가나
조규성 57분, 60분에 득점 57′60′ 리포트 살리수 24분에 득점 24′
쿠두스 34분, 68분에 득점 34′68′

대한민국 2 – 1 포르투갈
김영권 27분에 득점 27′
황희찬 90+1분에 득점 90+1′
리포트 오르타 5분에 득점 5′
관중: 44,097명
심판: 파쿤도 테요 (아르헨티나)

16강전

대한민국 1 - 4 브라질
백승호 76분에 득점 76′ 리포트 비니시우스 7분에 득점 7′
네이마르 13분에 득점 13′ (페널티킥)
히샤를리송 29분에 득점 29′
루카스 파케타 36분에 득점 36′
관중: 44,097명

최다 출전

순위 이름 경기 월드컵
1 홍명보 16 1990, 1994, 1998, 2002
2 박지성 14 2002, 2006, 2010
3 이영표 12 2002, 2006, 2010
4 이운재 11 1994, 2002, 2006
김남일 11 2002, 2006, 2010
6 황선홍 10 1990, 1994, 2002
안정환 10 2002, 2006
김태영 10 1998, 2002
유상철 10 1998, 2002
이천수 10 2002, 2006
손흥민 10 2014, 2018, 2022
10 김주성 9 1986, 1990, 1994
최진철 9 2002, 2006
설기현 9 2002, 2006
기성용 9 2010, 2014, 2018

최다 골

순위 이름 월드컵
1 안정환 3 2002, 2006
박지성 3 2002, 2006, 2010
손흥민 3 2014, 2018
4 홍명보 2 1994
황선홍 2 1994, 2002
유상철 2 1998, 2002
이정수 2 2010
이청용 2 2010
김영권 2 2018, 2022
조규성 2 2022
11 박창선 1 1986
김종부 1 1986
최순호 1 1986
허정무 1 1986
황보관 1 1990
서정원 1 1994
하석주 1 1998
설기현 1 2002
이을용 1 2002
송종국 1 2002
이천수 1 2006
박주영 1 2010
이근호 1 2014
구자철 1 2014
황희찬 1 2022
백승호 1 2022

최다 상대 팀

순위 국가 경기 횟수 월드컵
1 스페인 3 1990, 1994, 2002
벨기에 3 1990, 1998, 2014
우루과이 3 1990, 2010, 2022
독일 3 1994, 2002, 2018
5 튀르키예 2 1954, 2002
이탈리아 2 1986, 2002
아르헨티나 2 1986, 2010
멕시코 2 1998, 2018
포르투갈 2 2002, 2022
10 헝가리 1 1954
불가리아 1 1986
볼리비아 1 1994
네덜란드 1 1998
폴란드 1 2002
미국 1 2002
토고 1 2006
프랑스 1 2006
스위스 1 2006
그리스 1 2010
나이지리아 1 2010
러시아 1 2014
알제리 1 2014
스웨덴 1 2018
가나 1 2022
브라질 1 2022

월드컵 상대 전적

국가 상대 전적 월드컵
포르투갈 2승 2002, 2022
폴란드 1승 2002
토고 1승 2006
그리스 1승 2010
이탈리아 1승 1패 1986, 2002
독일 1승 2패 1994, 2002, 2018
스페인 2무 1패 1990, 1994, 2002
불가리아 1무 1986
볼리비아 1무 1994
미국 1무 2002
프랑스 1무 2006
나이지리아 1무 2010
러시아 1무 2014
우루과이 1무 2패 1990, 2010, 2022
벨기에 1무 2패 1990, 1998, 2014
헝가리 1패 1954
네덜란드 1패 1998
스위스 1패 2006
알제리 1패 2014
스웨덴 1패 2018
가나 1패 2022
브라질 1패 2022
튀르키예 2패 1954, 2002
아르헨티나 2패 1986, 2010
멕시코 2패 1998, 2018

같이 보기

각주

  1. “History of the FIFA World Cup Preliminary Competition (by year)” (PDF). FIFA. 2011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1월 17일에 확인함. 
  2. 사실 이 골은 오프사이드였다.
  3. “Referee designations for matches 1-16”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0년 6월 5일. 2010년 7월 5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5일에 확인함. 
  4. 이 중 이과인의 후반 31분 골은 오프사이드였다.
  5. “Referee designations for matches 17-24” (PDF). 《FIFA.com》. 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Football Association. 2010년 6월 14일. 2010년 7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6월 2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