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해석학 에서 바나흐 공간 (Banach空間, 영어 : Banach space )은 완비 노름 공간 이다.[ 1] [ 2] [ 3] [ 4] 함수해석학 의 주요 연구 대상 가운데 하나다. 스테판 바나흐 의 이름을 땄다.
정의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가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라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
X
,
‖
⋅
‖
)
{\displaystyle (X,\|\cdot \|)}
에 대하여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며, 이를 만족시키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을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이라고 한다.
(노름 으로 정의한 거리 함수 를 부여하면) 완비 거리 공간 이다. 즉, 모든 코시 열 이 수렴 한다.
모든 절대 수렴 급수가 수렴한다. 즉, 임의의 점렬
(
v
i
)
i
∈
N
⊆
X
{\displaystyle (v_{i})_{i\in \mathbb {N} }\subseteq X}
에 대하여, 만약
∑
i
∈
N
‖
v
i
‖
<
∞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in \mathbb {N} }\|v_{i}\|<\infty }
라면, 급수
∑
i
∈
N
v
i
{\displaystyle \textstyle \sum _{i\in \mathbb {N} }v_{i}
역시 (노름 으로 정의한 거리 위상 에 대하여) 수렴한다.[ 5] :8, §1.2, Exercise 1.2.1
체
K
{\displaystyle \mathbb {K} }
를 실수체 또는 복소수체 로 국한하는 이유는 노름 공간에 완비성을 가정하려면 그 체가 완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유리수체 는 완비되지 못한다.)
부분 공간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의 부분 벡터 공간
ι
:
W
↪
V
{\displaystyle \iota \colon W\hookrightarrow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만약
W
{\displaystyle W}
가 닫힌집합 이라면
W
{\displaystyle W}
는 역시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만약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선형 변환
P
:
V
→
W
{\displaystyle P\colon V\to W}
가 존재한다면,
W
{\displaystyle W}
를 여공간을 가지는 부분 공간 (영어 : complemented subspace )라고 한다.
P
{\displaystyle P}
는 전사 함수 이다.
ι
∘
P
:
V
→
V
{\displaystyle \iota \circ P\colon V\to V}
는 (
W
{\displaystyle W}
로의) 사영 이다. 즉,
ι
∘
P
∘
ι
∘
P
=
ι
∘
P
{\displaystyle \iota \circ P\circ \iota \circ P=\iota \circ P}
이다.
P
{\displaystyle P}
는 유계 작용소 이다.
여분 부분 공간은 (연속 함수의 상 이므로) 항상 닫힌집합 이다. 즉, 바나흐 공간의 부분 벡터 공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존재한다.
여공간을 가지는 부분 공간 ⇒ 닫힌 부분 벡터 공간 ⇒ 부분 벡터 공간
여분 부분 공간
W
⊆
V
{\displaystyle W\subseteq V}
가 주어졌을 때,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를 다음과 같이 분해할 수 있다.
V
=
W
⊕
ker
P
{\displaystyle V=W\oplus \ker P}
그러나 이러한
P
{\displaystyle P}
는 유일하지 않을 수 있다.
연산
완비화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V
{\displaystyle V}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V
¯
{\displaystyle {\bar {V}
및 등거리 선형 변환
ι
:
V
→
V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bar {V}
가 존재한다.
상
ι
(
V
)
⊆
V
¯
{\displaystyle \iota (V)\subseteq {\bar {V}
는
V
¯
{\displaystyle {\bar {V}
의 조밀 집합 이다.
또한, 이는 다음과 같은 보편 성질 을 만족시킨다.
임의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W
{\displaystyle W}
및 등거리 선형 변환
j
:
V
→
W
{\displaystyle j\colon V\to W}
에 대하여, 만약
j
(
V
)
{\displaystyle j(V)}
가 조밀 집합 이라면,
j
=
i
∘
ι
{\displaystyle j=i\circ \iota }
인 바나흐 공간 동형 사상(=등거리 선형 위상 동형 사상 )
i
:
V
¯
→
W
{\displaystyle i\colon {\bar {V}\to W}
가 존재한다.
V
¯
{\displaystyle {\bar {V}
는 거리 공간 으로서
V
{\displaystyle V}
의 거리 공간 완비화 와 같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이미 바나흐 공간이라면
ι
{\displaystyle \iota }
는 바나흐 공간 동형 사상이다.
부분 공간과 몫공간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X
{\displaystyle X}
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부분 벡터 공간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제한 노름
‖
‖
X
↾
Y
{\displaystyle \|\|_{X}\upharpoonright Y}
를 부여하면, 이는 노름 공간 을 이룬다. 이 경우,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Y
{\displaystyle Y}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Y
{\displaystyle Y}
는 닫힌집합 이다.
또한, 닫힌 부분 벡터 공간
Y
⊆
X
{\displaystyle Y\subseteq X}
에 대한 몫공간
X
/
Y
{\displaystyle X/Y}
위에
‖
x
+
Y
‖
=
inf
y
∈
Y
‖
x
+
y
‖
{\displaystyle \lVert x+Y\rVert =\inf _{y\in Y}\lVert x+y\rVert }
으로 노름 을 주자. 그렇다면
X
/
Y
{\displaystyle X/Y}
역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상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X
{\displaystyle X}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Y
{\displaystyle Y}
연속 열린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T
:
X
→
Y
{\displaystyle T\colon X\to Y}
그렇다면,
T
(
X
)
{\displaystyle T(X)}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이다.
직합
다음 데이터가 주어졌다고 하자.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의 집합
(
V
i
)
i
∈
I
{\displaystyle (V_{i})_{i\in I}
확장된 실수
1
≤
p
≤
∞
{\displaystyle 1\leq p\leq \infty }
그렇다면, 직합
V
~
=
⨁
i
∈
I
V
i
{\displaystyle {\tilde {V}=\bigoplus _{i\in I}V_{i}
위에 다음과 같은 노름 을 정의하자.
‖
⨁
i
∈
I
v
i
‖
=
{
∑
i
∈
I
‖
v
i
‖
V
i
p
p
p
<
∞
max
i
∈
I
‖
v
i
‖
V
i
p
=
∞
{\displaystyle \left\|\bigoplus _{i\in I}v_{i}\right\|={\begin{cases}{\sqrt[{p}]{\sum _{i\in I}\|v_{i}\|_{V_{i}^{p}&p<\infty \\\max _{i\in I}\|v_{i}\|_{V_{i}&p=\infty \end{cases}
그렇다면,
V
~
{\displaystyle {\tilde {V}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내적 공간을 이룬다.
만약
I
{\displaystyle I}
가 유한 집합 이라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모든
i
{\displaystyle i}
에 대하여
V
i
{\displaystyle V_{i}
가 바나흐 공간이다.
V
~
{\displaystyle {\tilde {V}
는 바나흐 공간이다.
이 경우,
V
~
{\displaystyle {\tilde {V}
의 (
p
{\displaystyle p}
-노름으로 정의되는) 위상은
p
{\displaystyle p}
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나 만약
I
{\displaystyle I}
가 무한 집합 이라면,
V
i
{\displaystyle V_{i}
가 모두 바나흐 공간이라도
V
~
{\displaystyle {\tilde {V}
가 바나흐 공간이 아닐 수 있다. 이 경우
V
~
{\displaystyle {\tilde {V}
의 완비화
V
{\displaystyle V}
를 취해야 하며, 그 결과는 일반적으로
p
∈
[
1
,
∞
]
{\displaystyle p\in [1,\infty ]}
에 따라 다르다.
텐서곱
힐베르트 공간 의 경우 간단하고 유일한 텐서곱이 존재하지만, 바나흐 공간의 텐서곱 이론은 유일하지 않으며 복잡하다.[ 6] [ 7] 특히, 대략 "최대" 텐서곱인 사영 위상 텐서곱 (영어 : pro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 )과 "최소" 텐서곱인 단사 위상 텐서곱 (영어 : injective topological tensor product )이 존재한다. 이 둘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르며, 또한 (힐베르트 공간의 경우) 힐베르트 텐서곱과도 다르다.
성질
바나흐 공간 사이의 선형 변환
바나흐-샤우데르 정리 (-定理, 영어 : Banach-Schauder theorem ) 또는 열린 사상 정리 (-寫像定理, 영어 : open mapping theorem )에 따르면, 임의의 두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
W
{\displaystyle W}
사이의 전사 유계 작용소
T
:
V
→
W
{\displaystyle T\colon V\to W}
는 열린 함수 이다.[ 8] :48, Theorem 2.11 특히,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선형 변환 은 항상 위상 벡터 공간 의 동형 사상 이다. (그러나 이는 등거리 변환 이 아닐 수 있다.)
이 정의는 베르 범주 정리 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증명될 수 있다.
증명 :
V
{\displaystyle V}
속의 단위 열린 공 의 상
T
(
ball
V
(
0
,
1
)
)
{\displaystyle 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
이
0
W
{\displaystyle 0_{W}
의 근방 임을 증명하면 족하다.
우선,
V
{\displaystyle V}
는 다음과 같은 열린 공 들의 합집합 이다.
V
=
⋃
n
∈
Z
+
ball
V
(
0
,
n
)
{\displaystyle V=\bigcup _{n\in \mathbb {Z} ^{+}\operatorname {ball} _{V}(0,n)}
T
{\displaystyle T}
가 전사 함수 이므로
W
=
T
(
V
)
=
⋃
n
=
1
∞
T
(
ball
V
(
0
,
n
)
)
{\displaystyle W=T(V)=\bigcup _{n=1}^{\infty }T\left(\operatorname {ball} _{V}(0,n)\right)}
이다.
베르 범주 정리 에 따라서, 바나흐 공간
W
{\displaystyle W}
는 가산 개의 조밀한 곳이 없는 집합 들의 합집합으로 표현될 수 없다. 따라서,
ball
W
(
n
c
,
n
r
)
⊆
cl
(
T
(
ball
V
(
0
,
n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W}(nc,nr)\subseteq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n)\right)\right)}
인 양의 정수
n
∈
Z
+
{\displaystyle n\in \mathbb {Z} ^{+}
및
c
∈
W
{\displaystyle c\in W}
및 양의 실수
r
>
0
{\displaystyle r>0}
가 존재한다. (
ball
(
−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
는 열린 공 을 뜻한다.) 즉,
ball
W
(
c
,
r
)
⊆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W}(c,r)\subseteq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이다.
이제,
ball
W
(
0
,
r
)
⊆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W}(0,r)\subseteq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를 증명하자. 우선,
cl
(
T
(
ball
V
(
0
,
1
)
)
)
=
−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이므로, 임의의
w
∈
ball
W
(
0
,
r
)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ball} _{W}(0,r)}
에 대하여,
w
±
c
∈
ball
(
±
c
,
r
)
⊆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w\pm c\in \operatorname {ball} (\pm c,r)\subseteq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이며,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는 볼록 집합 이므로
w
=
(
w
+
c
)
+
(
w
−
c
)
)
2
∈
cl
(
T
(
ball
V
(
0
,
1
)
)
)
{\displaystyle w={\frac {(w+c)+(w-c))}{2}\in \operatorname {cl} \left(T\left(\operatorname {ball} _{V}(0,1)\right)\right)}
이다.
이제
ball
W
(
0
,
r
/
2
)
⊆
T
(
2
r
ball
V
(
0
,
1
)
)
{\displaystyle \operatorname {ball} _{W}(0,r/2)\subseteq T\left({\frac {2}{r}\operatorname {ball} _{V}(0,1)\right)}
를 증명하면 족하다. 즉, 임의의
w
∈
ball
W
(
0
,
r
/
2
)
{\displaystyle w\in \operatorname {ball} _{W}(0,r/2)}
에 대하여,
T
v
=
w
{\displaystyle Tv=w}
인
v
∈
V
{\displaystyle v\in V}
를 찾으면 족하다.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키는 벡터열
(
v
1
,
v
2
,
…
)
{\displaystyle (v_{1},v_{2},\ldots )}
을 재귀적으로 고를 수 있다.
‖
v
i
‖
<
2
−
i
∀
i
∈
Z
+
{\displaystyle \|v_{i}\|<2^{-i}\qquad \forall i\in \mathbb {Z} ^{+}
‖
w
−
T
v
1
−
⋯
−
T
v
i
‖
<
2
−
i
−
1
r
∀
i
∈
Z
+
{\displaystyle \|w-Tv_{1}-\cdots -Tv_{i}\|<2^{-i-1}r\qquad \forall i\in \mathbb {Z} ^{+}
(이는
r
{\displaystyle r}
의 정의에 따라 가능하다.) 그렇다면, 바나흐 공간에서 절대 수렴 급수는 수렴하므로,
v
=
∑
i
=
1
∞
v
i
∈
ball
V
(
0
,
1
)
{\displaystyle v=\sum _{i=1}^{\infty }v_{i}\in \operatorname {ball} _{V}(0,1)}
를 정의할 수 있다.
T
{\displaystyle T}
가 연속 함수 이므로
T
v
=
w
{\displaystyle Tv=w}
이다.
특히, 이에 따라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전단사 유계 작용소 는 위상 벡터 공간 의 동형이다.[ 8] :51, Theorem 2.15 또한, 바나흐 공간의 닫힌 그래프 정리 (영어 : closed graph theorem )에 따르면, 두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
W
{\displaystyle W}
사이의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T
:
V
→
W
{\displaystyle T\colon V\to W}
에 대하여 다음 세 조건이 서로 동치 이다.
연속 함수 이다.
유계 작용소 이다.
graph
T
=
{
(
v
,
T
v
)
:
v
∈
V
}
⊆
V
⊕
W
{\displaystyle \operatorname {graph} T=\{(v,Tv)\colon v\in V\}\subseteq V\oplus W}
는 (곱위상 을 부여한)
V
⊕
W
{\displaystyle V\oplus W}
속의 닫힌집합 이다.
즉,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유계 작용소 에 대하여 다음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이 밖에도, 두 바나흐 공간 사이의 유계 작용소 의 열에 대하여 균등 유계성 원리 가 성립한다.
함의 관계
다음과 같은 함의 관계가 성립한다.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
K
{\displaystyle \mathbb {K} }
-반사 바나흐 공간
⇒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
⇓
K
{\displaystyle \mathbb {K} }
-내적 공간
⟹
K
{\displaystyle \mathbb {K} }
-노름 공간
샤우데르 기저
벡터 공간의 (하멜) 기저 나 힐베르트 공간 의 정규 직교 기저 와 달리, 바나흐 공간 이론에서 기저의 개념은 복잡하다. 바나흐 공간의 경우 샤우데르 기저 라는 개념을 정의할 수 있지만, 샤우데르 기저를 갖지 않는 바나흐 공간이 존재하며, 또한 샤우데르 기저의 원소들의 순서가 중요하다.
바나흐 공간 위의 미적분학
바나흐 공간 속의 열린집합 위에 정의된 함수의 경우, 프레셰 도함수 라는 일종의 도함수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나흐 공간 위의 (비선형) 미적분학을 전개할 수 있다.
분류
분해 가능 바나흐 공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분류 정리가 존재한다.
L1 의 몫공간으로의 표현
모든 분해 가능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은 르베그 공간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의 몫공간 이다. 즉,
ℓ
1
(
K
)
{\displaystyle \ell ^{1}(\mathbb {K} )}
에 닫힌
K
{\displaystyle \mathbb {K} }
-부분 벡터 공간
M
{\displaystyle M}
이 존재하여,
X
≅
ℓ
1
(
K
)
/
M
{\displaystyle X\cong \ell ^{1}(\mathbb {K} )/M}
이다.[ 9]
C
0
{\displaystyle {\mathcal {C}^{0}
의 부분 공간으로의 표현
바나흐-마주르 정리 (Banach-Mazur定理, 독일어 : Banach–Mazur theorem )에 따르면, 임의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에 대하여 다음이 성립한다.
어떤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K
{\displaystyle K}
및 등거리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ι
:
V
→
C
0
(
K
,
K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mathcal {C}^{0}(K,\mathbb {K} )}
가 존재한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분해 가능 공간 이라면, 등거리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ι
:
V
→
C
0
(
[
0
,
1
]
,
K
)
{\displaystyle \iota \colon V\to {\mathcal {C}^{0}([0,1],\mathbb {K} )}
가 존재한다.
여기서
C
0
(
−
,
K
)
{\displaystyle {\mathcal {C}^{0}(-,\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값의 연속 함수들의 바나흐 대수 이며, 그 위의 노름은
‖
f
‖
=
sup
x
∈
K
|
f
(
x
)
|
{\displaystyle \|f\|=\sup _{x\in K}|f(x)|}
이다.
이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분해 가능 실수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가 주어졌을 때, 그 연속 쌍대 공간
V
′
{\displaystyle V'}
의 단위 닫힌 공
K
=
ball
V
′
(
0
,
1
)
{\displaystyle K=\operatorname {ball} _{V'}(0,1)}
을 생각하고, 그 위에 약한-* 위상 을 부여하자. 이는 바나흐-앨러오글루 정리 에 의하여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이다. 약한-* 위상 의 정의에 따라, 임의의
v
∈
V
{\displaystyle v\in V}
에 대하여 연속 함수
K
→
K
{\displaystyle K\to \mathbb {K} }
f
↦
f
(
v
)
{\displaystyle f\mapsto f(v)}
는 연속 함수 이다. 즉, 이는 연속 함수
V
→
C
0
(
K
)
{\displaystyle V\to {\mathcal {C}^{0}(K)}
v
↦
(
f
↦
f
(
x
)
)
{\displaystyle v\mapsto (f\mapsto f(x))}
를 정의한다. 이는 등거리 선형 변환 임을 쉽게 보일 수 있다.
만약
V
{\displaystyle V}
가 추가로 분해 가능 공간 이라면,
C
0
(
K
,
R
)
{\displaystyle {\mathcal {C}^{0}(K,\mathbb {R} )}
는
C
0
(
[
0
,
1
]
,
R
)
{\displaystyle {\mathcal {C}^{0}([0,1],\mathbb {R} )}
의 부분 공간으로 등거리 매장할 수 있음을 보일 수 있다.
바나흐-마주르 거리
바나흐-마주르 콤팩트 공간 (영어 : Banach–Mazur compactum )이라는, 유한 차원 바나흐 공간의 일종의 모듈라이 공간 이 존재한다.
자연수
n
{\displaystyle n}
및
K
∈
{
R
,
C
}
{\displaystyle \mathbb {K} \in \{\mathbb {R} ,\mathbb {C} \}
및 두
n
{\displaystyle n}
차원 실수 바나흐 공간
V
{\displaystyle V}
,
W
{\displaystyle W}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그 사이의 전단사
K
{\displaystyle \mathbb {K} }
-선형 변환 들의 공간
GL
(
V
,
W
)
{\displaystyle \operatorname {GL} (V,W)}
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V
{\displaystyle V}
와
W
{\displaystyle W}
사이의 바나흐-마주르 거리 (영어 : Banach–Mazur distance )는 다음과 같다.
d
(
V
,
W
)
=
ln
T
∈
GL
(
V
,
W
)
‖
T
‖
‖
T
−
1
‖
{\displaystyle d(V,W)=\ln _{T\in \operatorname {GL} (V,W)}\|T\|\|T^{-1}\|}
여기서
‖
T
‖
{\displaystyle \|T\|}
는 작용소 노름 이다.
이는 삼각 부등식 을 만족시킨다.
n
{\displaystyle n}
차원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들의 (등거리) 동형류들의 공간은 이 거리 함수 를 통해 콤팩트 거리 공간 을 이룬다. 이를 바나흐-마주르 콤팩트 공간 이라고 한다.
예
유클리드 공간
자연수
n
∈
N
{\displaystyle n\in \mathbb {N} }
에 대하여, 유한 차원
K
{\displaystyle \mathbb {K} }
-벡터 공간
K
n
{\displaystyle \mathbb {K} ^{n}
위에 노름
‖
(
x
1
,
…
,
x
n
)
‖
=
|
x
1
|
2
+
⋯
+
|
x
n
|
2
{\displaystyle \|(x_{1},\dots ,x_{n})\|={\sqrt {|x_{1}|^{2}+\cdots +|x_{n}|^{2}
를 부여하면, 이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르베그 공간
임의의 측도 공간
(
X
,
Σ
,
μ
)
{\displaystyle (X,\Sigma ,\mu )}
및 확장된 실수
1
≤
p
≤
∞
{\displaystyle 1\leq p\leq \infty }
에 대하여, 르베그 공간
L
p
(
X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L} ^{p}(X;\mathbb {K} )}
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수렴 수열 공간
수렴 수열 공간
c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mathbb {K} )}
과 영 수렴 수열 공간
c
0
(
K
)
{\displaystyle \operatorname {c} _{0}(\mathbb {K} )}
은 둘 다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힐베르트 공간
임의의
K
{\displaystyle \mathbb {K} }
-힐베르트 공간
H
{\displaystyle {\mathcal {H}
에 대하여,
‖
v
‖
=
⟨
v
,
v
⟩
(
v
∈
H
)
{\displaystyle \|v\|={\sqrt {\langle v,v\rangle }\qquad (v\in {\mathcal {H})}
로 노름을 정의하면 이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연속 함수 공간
콤팩트 하우스도르프 공간
X
{\displaystyle X}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X
{\displaystyle X}
위의,
K
{\displaystyle \mathbb {K} }
값의 연속 함수 들의
K
{\displaystyle \mathbb {K} }
-벡터 공간
C
0
(
X
,
K
)
{\displaystyle {\mathcal {C}^{0}(X,\mathbb {K} )}
에 다음과 같은 노름 을 줄 수 있다.
‖
f
‖
=
max
x
∈
X
|
f
(
x
)
|
{\displaystyle \|f\|=\max _{x\in X}|f(x)|}
이는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공간을 이룬다. 사실, 점별 곱셈을 통해 이는 추가로
K
{\displaystyle \mathbb {K} }
-바나흐 대수 를 이룬다.
역사
스테판 바나흐 가 1922년부터 연구하였다.[ 10] 이 밖에도, 한스 한 과 에두아르트 헬리 가 바나흐 공간 이론의 초기 연구에 기여하였다.
바나흐-마주르 정리는 스테판 바나흐 와 스타니스와프 마주르 가 증명하였다. 바나흐-샤우데르 정리와 그 따름정리인 닫힌 그래프 정리는 스테판 바나흐 가 1929년에 발표하였고,[ 11] :238 이듬해 율리우시 샤우데르 [ 12] 가 개량하였다.[ 13] :261, §5.4 [ 14] :466, §14.4
각주
↑ 조총만 (2000). 《바나하공간론》 . 대우학술총서 485 . 아카넷. ISBN 978-89-8910318-9 . 2016년 8월 5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6월 6일에 확인함 .
↑ Beauzamy, Bernard (1985). 《Introduction to Banach spaces and their geometry》. North-Holland Mathematics Studies (영어) 68 2판. North-Holland. Zbl 0585.46009 .
↑ Fabian, Marián; Habala, Petr; Hájek, Petr; Montesinos, Vicente; Zizler, Václav (2011). 《Banach space theory: the basis for linear and nonlinear analysis》. Canadian Mathematical Society Book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 doi :10.1007/978-1-4419-7515-7 . ISBN 978-1-4419-7514-0 . ISSN 1613-5237 . Zbl 1229.46001 .
↑ Albiac, Fernando; Kalton, Nigel J. (2016). 《Topics in Banach space theory》. Graduate Texts in Mathematics (영어) 233 2판. Springer-Verlag. doi :10.1007/978-3-319-31557-7 . ISBN 978-3-319-31555-3 . ISSN 0072-5285 . Zbl 06566917 .
↑ Kadets, Mikhail I.; Kadets, Vladimir M. (1997). 《Series in Banach Spaces. Conditional and Unconditional Convergence》. Operator Theory Advances and Applications (영어) 94 . Basel: Birkhäuser. doi :10.1007/978-3-0348-9196-7 . ISBN 978-3-0348-9942-0 . Zbl 0876.46009 .
↑ Ryan, Raymond A. (2002). 《Introduction to tensor products of Banach spaces》. Springer Monographs in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471-3903-4 . ISBN 978-1-85233-437-6 . ISSN 1439-7382 .
↑ Diestel, Joseph; Fourie, Jan H.; Swart, Johan (2008). 《The metric theory of tensor products: Grothendieck’s résumé revisited》.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Miscellaneous Books (영어) 52 . American Mathematical Society. doi :10.1090/mbk/052 . ISBN 978-0-8218-4440-3 .
↑ 가 나 Rudin, Walter (1991). 《Functional analysis》 . International Series in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2판. McGraw-Hill. ISBN 978-0-07-054236-5 . Zbl 0867.46001 .
↑ Banach, Stefan ; Mazur, S. (1933). “Zur Theorie der linearen Dimension”. 《Studia Mathematica》 (독일어) 4 : 100–112. ISSN 0039-3223 .
↑ Banach, Stefan (1922). “Sur les opérations dans les ensembles abstraits et leur application aux équations intégrales” (PDF) . 《Fundamenta Mathematicae》 (프랑스어) 3 : 133–181. JFM 48.0201.01 .
↑ Banach, Stefan (1929). “Sur les fonctionelles linéaires II” . 《Studia Mathematica》 (프랑스어) 1 (1): 223–239. ISSN 0039-3223 .
↑ Schauder, J. (1930). “Über lineare, vollstetige Funktionaloperationen” . 《Studia Mathematica》 (독일어) 2 (1): 183–196. ISSN 0039-3223 .
↑ Mukherjea, K.; Pothoven, K. (1978). 《Real and functional analysis》. Mathematical Concepts and Methods in Science and Engineering (영어) 6 . Springer-Verlag. doi :10.1007/978-1-4684-2331-0 .
↑ Narici, Lawrence; Beckenstein, Edward (2010). 《Topological vector spaces》 . Pure and Applied Mathematics (영어) 2판. CRC Press. ISBN 978-158488866-6 .
외부 링크
Kadets, M.I. (2001). “Banach space”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ISBN 978-1-55608-010-4 .
“Topological tensor product”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Open-mapping theorem”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Banach-Mazur compactum” . 《Encyclopedia of Mathematics》 (영어). Springer-Verlag. 2001. ISBN 978-1-55608-010-4 .
Mohammad Sal Moslehian, Todd Rowland, Eric W. Weisstein. “Banach space”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Mohammad Sal Moslehian. “Minimal Banach space”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Mohammad Sal Moslehian. “Prime Banach space”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Mohammad Sal Moslehian. “Banach completion”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Weisstein, Eric Wolfgang. “Open mapping theorem” . 《Wolfram MathWorld 》 (영어). Wolfram Research.
“Banach space” . 《nLab》 (영어).
“Direct sum of Banach spaces” . 《nLab》 (영어).
“Tensor product of Banach spaces” . 《nLab》 (영어).
Yuan, Qiaochu (2012년 6월 23일). “Banach spaces (and Lawvere metrics, and closed categories)” . 《Annoying Precision》 (영어).
Tao, Terrence (2009년 1월 26일). “245B, Notes 6: Duality and the Hahn-Banach theorem” . 《What’s New》 (영어).
Tao, Terrence (2009년 2월 1일). “245B, Notes 9: The Baire category theorem and its Banach space consequences” . 《What’s New》 (영어).
“Predual of a direct sum of Banach spaces” (영어). Math Overflow.
“Is there a simple direct proof of the Open Mapping Theorem from the Uniform Boundedness Theorem?” (영어). Math Overfl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