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라하
동양식 등작 |
---|
![]() |
황제 / 천황 / 천자 / 천왕 / 태왕 무상가한 / 천가한 / 가한 / 선우 |
국왕 / 친왕 / 군왕 / 한 / 이사금 어라하 / 건길지 / 마립간 / 거서간 |
국공 / 군공 / 현공 |
열후 / 관내후 / 방백 |
어라하(於羅瑕)는 백제의 왕(폐하)을 달리 이르는 호칭이다.
『주서(周書)』 이역전(異域傳) 백제조에 의하면 “왕의 성은 부여씨(夫餘氏)이고 이름은 ‘어라하’라 하는데 백성은 ‘건길지(鞬吉支)’라고 부른다. 이것은 한자어로 왕과 같다. 처는 ‘어륙(於陸)’이라 하는데 한자로 비(妃)가 된다.”고 하였다.
이 구절은 부여계 언어와 한계(韓系) 토착언어와의 차이를 단적으로 말하여 주고 있는 셈이다. 그러나 어느 시기나 지배층의 용어와 일반민의 용어에는 큰 차이가 있었던 만큼, 이 구절을 부여계 언어와 백제 토착언어와의 언어차를 반영하는 것으로 볼 수 없다는 견해도 있다.
‘어라하’의 ‘어라’는 ‘대(大)’를 뜻하는 ‘엄니’·‘욱리’·‘아리’와 관련이 있으며, ‘하’는 부여어족·고구려어에서 왕을 가리키는 ‘가(加)’와 관계 있다고 생각되며 애초 대왕의 의미에서 기원하였다고 볼 수 있다.
참고 문헌
『주서(周書)』 『한국어(韓國語)의 계통(系統)』(김방한, 민음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