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하
저하(邸下)는 왕세자 경칭이다.[1] 이때 邸는 '집 저'자로 이때 저하는 "돋아진 땅보다 곧 아래에서 뵈어야 한다는 뜻"이 담겨 있다.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기 이후 저하로 불리다가, 공민왕 때 잠시 불리지 않았다. 조선때는 명나라의 제후가 된후 세자를 다시 저하로 부르게 되었다.
또한 고려 무인시기 최충헌이도 영공 저하라고 하였다.
또한 한국을 뺀 세계에는 저하라고 부르지 않는다 즉 저하는 한국만 칭하는 고유칭호이다.
같이 보기
각주
- ↑ 왕세손은 「각하」(閣下)라 함 세자가 요절했을 경우 동궁의 왕세손 저하 (邸下) 라 함.
|
---|
|
국가별 특이사례 |
황제국왕폐하
사도전하
보편전하 · 돈
기독국왕전하
독실전하 · 동
신앙의 수호자
왕하
고귀저하
어라하
- 기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