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학에서 유니터리 군(영어: unitary group)은 유니터리 행렬의 리 군이다. 기호는
.
정의
복소수 힐베르트 공간
가 주어졌을 때, 유니터리 군
는
위의 유니터리 작용소들의 군이다.
만약
가
차원 힐베르트 공간일 경우, 그 위의 유니터리 군은
으로 쓴다. 이 경우, 유니터리 군은
유니터리 행렬로 구성되는 리 군이다. 즉,

이다.
유니터리 리 대수
유니터리 군
은
차원 실수 리 군이다. 그 리 대수는

이다. 유니터리 행렬의 로그는 반에르미트 행렬(anti-Hermitian matrix)이므로,
는 반에르미트 행렬로 이루어져 있다.
성질
군론적 성질
유니터리 군
의 중심은 다음과 같은 꼴의 대각 행렬이다.

유니터리 행렬의 행렬식은 그 절댓값이 1인 복소수이다. 즉

인 군 준동형이 존재한다. 이에 대한 몫군은 특수 유니터리 군
이다. 즉, 다음과 같은 짧은 완전열이 존재한다.

리 이론적 성질
유니터리 군의 극대 원환면은 다음과 같다.

이에 대하여 유니터리 군의 바일 군은 대칭군
이며, 이는 원환면을 정의하는 기저 집합에 순열로 작용한다.
위상수학적 성질
모든 양의 정수
에 대하여, 유니터리 군
은 연결 실수 콤팩트 리 군이며, 그 기본군은 무한 순환군이다.


유한 차원 유니터리 군은 같은 차원의 복소수 일반선형군과 호모토피 동치이다.

호프 올뭉치

로 인하여, 만약
이라면

이다.[1]:112 즉, 유니터리 군의 호모토피 군들은 안정화되며, 안정 호모토피 군들은 다음과 같다.[1]:113

이 주기성을 보트 주기성(영어: Bott periodicity)이라고 한다.
불안정 호모토피 군은 낮은 차원에서는 직접 계산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다. (굵은 지그재그 아래의 칸들은 안정 호모토피 군, 위의 칸들은 불안정 호모토피 군들이다.
군
|
π1
|
π2
|
π3
|
π4
|
π5
|
π6
|
π7
|
π8
|
π9
|
π10
|
π11
|
π12
|
U(1) |
ℤ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0
|
U(2)
|
ℤ
|
0
|
ℤ
|
ℤ2 |
ℤ2 |
ℤ12 |
ℤ2 |
ℤ2 |
ℤ3 |
ℤ15 |
ℤ2 |
(ℤ2)2
|
U(3) |
ℤ |
0 |
ℤ
|
0
|
ℤ
|
ℤ6
|
U(4)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U(5)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U(6)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0
|
ℤ
|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무한 유니터리 군
을 범주론적 쌍대극한으로 정의할 수 있다.

무한 유니터리 군의 호모토피 군들은 유한 차원 유니터리 군의 안정 호모토피 군으로 주어진다.

이에 따라, 무한 유니터리 군은 스스로의 2차 고리 공간과 호모토피 동치이다.[1]:112, Theorem 1

무한 차원 분해 가능 힐베르트 공간
의 유니터리 군
는
와 다르다. 작용소 노름에 의한 위상을 주었을 때,
는 축약 가능 공간이며, 따라서 모든 호모토피 군이 자명하다.[2]

포함 관계
유니터리 군 U(1)은 원군이다. 이는 1차원 콤팩트 아벨 군이며, SO(2)와 같다. 이는 위상수학적으로 원
이다.
각주
외부 링크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