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
주 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 차량번호판 .
주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 은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우한시 에 개설된 대한민국 외교부 소속의 총영사관 이다.[ 1]
관할지역
역대 공관장
대수
성명
부임
제1대 총영사
엄기성(嚴基成)
2010년 1월[ 3]
제2대 총영사
한광섭(韓光燮)
2012년 3월[ 4]
제3대 총영사
정재남(鄭載男)
2015년 4월[ 5]
제4대 총영사
김영근(金永瑾)
2018년 4월[ 6]
제5대 총영사
강승석(姜承錫)
2020년 2월[ 7]
제6대 총영사
하성주
2023년 1월
각주
↑ 가 나 “韩国驻武汉总领事馆” [주 우한 한국 총영사관] (중국어). 우한시인민정부 외사판공실.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가 나 “관할지역, 업무시간 및 공관 약사” . 주 우한 대한민국 총영사관. 2018년 9월 7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 〈1056 재외공관장 인사_첨부.hwp〉 , 《재외공관장 인사 〔제10-56호 보도자료〕》 , 대한민국 외교통상부 인사운영팀, 2010년 1월 28일,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이광길 (2012년 3월 9일), 《외교부 동북아국 심의관에 박준용 전 주중공사참사관》 , 통일뉴스,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15-201 첨부.hwp〉 , 《외교부 공관장(총영사) 인사 〔제15-201호 보도자료〕》 , 대한민국 외교부 인사운영팀, 2015년 4월 2일,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김영근(국영문).hwp〉 , 《주우한총영사관》 , 대한민국 외교부 인사운영팀, 2018년 4월 27일, 2018년 9월 16일에 원본 문서 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9월 16일에 확인함
↑ 박우인 (2020년 2월 19일). “주우한 신임 총영사에 강승석 전 주다롄 출장소장” . 《서울경제》. 2020년 2월 21일에 확인함 .
같이 보기
아시아·태평양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뉴질랜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캄보디아
파키스탄
필리핀
호주
출장소
아메리카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분관 출장소
미국
댈러스 (주휴스턴 총영사관 산하)
앵커리지 (주시애틀 총영사관 산하)
필라델피아 (주뉴욕 총영사관 산하)
하갓냐 (주호놀룰루 총영사관 산하)
유럽 지역
대사관 총영사관
독일
러시아
스페인
이탈리아
카자흐스탄
튀르키예
분관 출장소
러시아
유즈노사할린스크 (주블라디보스토크 총영사관 산하)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대표부 없어진 공관
대사관
감비아
기니
나미비아
니제르
라이베리아
말라위
모리셔스
모리타니
바베이도스
부르키나파소
소말리아
수리남
스와질란드 (현재의 에스와티니)
시에라리온
아이티
월남 공화국 (남베트남)
자메이카
잠비아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중화민국
콩고 공화국
크메르 공화국
토고
총영사관 및 영사관
1. 재외공관장의 직무등급은 해당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대외비밀로 하는 것이 원칙이다.
2. 차관급 이상의 예우를 받는 13개 재외공관장[1] 중 6자 회담 참가국 및 국제기구의 재외공관장인 미국 대사, 중국 대사, 러시아 대사, 일본 대사, UN 대표, OECD 대표 등 6개 재외공관장은 장관급 예우를, 벨기에 대사 겸 유럽 연합·NATO 대표, 영국 대사, 프랑스 대사, 독일 대사, 인도 대사, 제네바 대표, ASEAN 대표 등 기타 주요국 대사들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3. 대한민국 재외공관 중 대사관은 190개국에, 대표부는 5개국에, 총영사관은 45개가 설치되어 있다. 다만, 대사관은 겸임 지역을 제외하면 124개국에 한정된다.
4. 몬트리올 총영사관은 국제민간항공기구 대표부를, 네덜란드 대사관은 헤이그 국제 기구 대표부를, 벨기에 대사관은 유럽 연합 대사관·북대서양 조약 기구 대표부를, 영국 대사관은 국제 해사 기구 대표부를, 오스트리아 대사관은 빈 국제 기구 대표부를, 에티오피아 대사관은 아프리카 연합 대표부를 각각 겸임한다.
5. 문화원[2] 은 문화체육관광부 가 예산을 지원하고 외교부 재외공관 부설기관으로 설치되며 해당 재외공관장의 지휘·감독을 받는다.
6. 대한민국이 독립국으로 승인하지 않은 나라에 설치된
주타이베이 대한민국 대표부 (대만 소재),
주팔레스타인 대한민국 대표사무소 (팔레스타인 소재)는 다른 대표부와 달리 정식 재외공관은 아니지만 관행적으로 인정된다.
[3]
The article is a derivative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ShareAlike License .
A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can be found here and attribution parties here
By using this site, you agree to the Terms of Use . Gpedia ® is a registered trademark of the Cyberajah Pty Lt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