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수 마르추
카수 마르추 | |
---|---|
다른 이름 | 카수 프라지구 |
원산지 | 이탈리아 |
지역이나 주 | 사르데냐 |
젖 | 양젖 |
질감 | 연질 |
카수 마르추(사르데냐어: casu martzu) 또는 카수 프라지구(사르데냐어: casu frazigu)는 전통 사르데냐식 치즈로 곤충의 알이 치즈 안에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치즈이다. 양젖으로 만들고 이 지역에서만 발견된다.
페코리노 치즈에서 유래했는데 카수 마르추는 보통이 발효 과정을 넘어서서 부패로까지 이어지게 한다. 이렇게 하여 유충이 치즈에 생겨나는데 발효 과정 중 유지방 비율이 줄어들게 된다. 치즈의 질감은 매우 부드러우며 사르데냐어로 눈물을 뜻하는 액체가 씹혀 나온다. 유충의 경우 반투명 상태의 하얀 벌레인데 보통 8mm 정도의 길이이다.[1]
발효
카수 마르추는 페코리노 치즈의 맨 바깥 부분을 제거한 상태로 바깥에 두어 치즈파리가 알을 낳도록 하는 것이다. 치즈파리는 한 번에 500개 이상의 알을 낳을 수 있다.[1][2] 알이 부화하면 유충이 치즈를 갉아먹기 시작한다.[3]
소비
지역민들은 안의 유충이 죽은 상태라면 먹기 위험한 상태로 여긴다. 때문에 구더기가 치즈 속에 살아 있을 경우에만 먹는 것이 보통이다.(냉장고에 넣어 보관하면 유충을 죽일 수 있으므로 이렇게 먹기도 한다.) 충분한 발효과정을 거치면 잘게 잘라서 사르데냐식 빵인 파네 카라사우(Pane carasau)에 뿌려 먹는데 보통 적포도주를 곁들인다.[4] 카수 마르추는 지역민들에게 정력제로 사랑 받는데[5]
법적 특성
유럽연합의 식품 보건건강 규정에 따라 카수 마르추는 한 동안 위법 식품이었고 반대하는 사람들은 많은 벌금을 물어야 했다.[6] 하지만 그럼에도 암시장에서 거래되면서 그 가격은 두 배로 거래됐다.[5]
25년 전부터 전통적 음식으로 카수 마르추를 지정하여 EU의 제재를 피해가려 노력했고 한때 제재 대상 식품이 아니다. 전통 제조 방식은 지방 정부가 직접 문서로 규정하고 있다.[7]
그러나 2013년 11월 발표된 EU Database of Origin and Registration 보고서는 카수 마르추는 전통 식품 목록에 빠져 있으며[8] 뿐만 아니라 이탈리아 농업정책부 문서에서 빠져 있다.[9] 이에 따라 법적 지위에 관한 내용은 확언하기 어려운 상태다.
종류
이탈리아 여러 지역에서 카수 마르추와 같이, 유충을 포함한 치즈가 생산된다.[10][11][12]
- 마르세토(Marcetto) - 아브루초주
- 고르곤촐라 코이 그릴리 - 리구리아주
- 살테레로(Salterello) - 프리울리베네치아줄리아주
- 푸르마이 니스(Furmai nis) - 에밀리아로마냐주
이탈리아 외의 여러 나라에서도 치즈 파리의 유충이 치즈 안에 있는 경우가 발견된다. 예를 들어 염소젖으로 만든 치즈를 상온 상에 두고 자연스럽게 치즈에 유충이 생기도록 하는 것이다.[3] 그리고 난 뒤 백포도주와 함께 포도와 꿀을 넣어 저장시켜서 강한 향이 나도록 한다. 독일의 밀벤카세와 같은 치즈가 이에 해당된다.
같이 보기
각주
- ↑ 가 나 Berenbaum, May R (1993). 《Ninety-Nine More Maggots, Mites, and Munchers》.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0–14쪽. ISBN 0-252-06322-8.
- ↑ Stephens, Andrew (2008년 8월 30일). “Top five ... challenging foods; -at, drink, cook ... and be merry”. 《The Age》. A2면. Under "Casu marzu"
- ↑ 가 나 Overstreet, Robin M (December 2003). “Presidential Address: Flavor Buds and Other Delights”. 《Journal of Parasitology》 (Halifax, Nova Scotia, Canada: American Society of Parasitologists) 89 (6): 1093–1107. doi:10.1645/GE-236. PMID 14740894. 2008년 10월 6일에 확인함.
- ↑ Sardinia, Italy|last=Loomis|first=Susan Herrmann Archived 2006년 4월 9일 - 웨이백 머신 Bon Appétit
- ↑ 가 나 Trofimov, Yaroslav (2000년 10월 23일). “As a Cheese Turns, So Turns This Tale Of Many a Maggot --- Crawling With Worms and Illicit, Sardinia's Ripe Pecorinos Fly In the Face of Edible Reason”. 《월스트리트저널 (Eastern Edition)》 236 (37): A1. ISSN 0099-9660.
- ↑ Frauenfelder, Mark (2005). "Most Rotten Cheese". The World's Worst: A Guide to the Most Disgusting, Hideous, Inept, and Dangerous People, Places, and Things on Earth. Chronicle Books. pp. 22–23. ISBN 978-0-8118-4606-6.
- ↑ “Casu frazigu - Formaggi” (PDF) (이탈리아어). Regione autonoma della Sardegna - ERSAT: Ente Regionale di Sviluppo e Assistenza Tecnica. 2010년 10월 29일에 확인함.
- ↑ European Commission >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 Agriculture and food > DOOR > Denomination Information http://ec.europa.eu/agriculture/quality/door/publishedName.html?denominationId=9002 visited 2013-11-07
- ↑ [www.politicheagricole.it/flex/cm/pages/ServeBLOB.php/L/IT/IDPagina/3340 Ministero delle politiche agricole alimentari e forestali. Disciplinari di produzione prodotti DOP e IGP riconosciuti. 1.3 Formaggi]
- ↑ Comuni italiani. “Cacie' punt”. 《www.comuni-italiani.it》.
- ↑ Prodotti tipici. “Formaggio saltarello”. 《www.prodottitipici.com》. prodottitipici.com. 2014년 12월 8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0일에 확인함.
- ↑ Prodotti tipici. “Pecorino marcetto”. 《www.prodottitipici.com》. prodottitipici.com. 2016년 3월 4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3월 1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