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색
금색 | |
---|---|
![]() | |
16진수 표기 | #FFD700 |
sRGBB (r, g, b) | (255, 215, 0) |
HSV (h, s, v) | (51°, 100%, {v}%)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
9호선 금색 | |
---|---|
![]() | |
16진수 표기 | #AA9872 |
sRGBB (r, g, b) | (170, 152, 114) |
출처 | [출처 없음] |
B: [0–255] (바이트)로 평준화 |
색 |
---|
![]() |
기본 성질 |
색상 명도 채도 원색 보색 색상환 |
색 목록 |
무채색: 하양 검정 회색 유채색: 빨강 주황 노랑 연두 녹색 청록 시안 파랑 남색 보라 마젠타 분홍 갈색 |
색의 이용 |
생물학: 보호색 경계색 디지털: 웹 색상 |
관련 항목 |
광학 시각 미술 |
위키프로젝트 색 |

금색(金色) 또는 황금색(黃金色)[1]은 금의 색깔과 비슷한 색이라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다.
이 색상은 금의 색깔과 비슷한 색이라 이러한 이름이 붙여졌으며, 빛에 비추어 보면 노랑과 비슷한 색이 나타난다. 금메달에 사용되며, 서울 지하철 9호선과 김포 도시철도의 고유색이 금색이다. (9호선의 별명이 '골드라인'이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일본에서는 도쿄 지하철 유라쿠초 선에 사용되므로, 큐슈 신칸센의 열차 등급인 미즈호(벼이삭의 일본어로, 풍년 농사를 기원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UCLA 등 많은 대학교가 사용하는 상징 색이기도 하다.
각주
- ↑ 독일의 국기와 국색에 언급되는 원조 색깔
![]() | 이 글은 색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