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AFC 아시안컵
2015년 AFC 아시안컵 | |
---|---|
2015 AFC Asian Cup | |
![]() | |
개최국 | ![]() |
개최기간 | 1월 9일 ~ 1월 31일 |
참가팀 | 16 (1개 대륙) |
경기장 | 5개 (5개 도시) |
결과 | |
우승 | ![]() |
준우승 | ![]() |
3위 | ![]() |
4위 | ![]() |
통계 | |
최다 득점 | ![]() |
최우수 선수 | ![]() |
« 2011 2019 » |
2015년 AFC 아시안컵(영어: 2015 AFC Asian Cup)은 2015년 1월 9일부터 1월 31일까지 오스트레일리아에서 개최된 16번째 AFC 아시안컵이다.
결승전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대한민국을 연장전까지 가는 경기 끝에 2-1로 누르고 아시안컵 첫 우승을 차지했다. 이에 따라 오스트레일리아는 2017년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자동 진출권 제도가 이 대회를 끝으로 폐지되어 2019년 AFC 아시안컵부터 자동 진출권은 개최국에게만 부여된다. 이에 따라 2019년 대회 개최국 자격의 아랍에미리트를 제외한 오스트레일리아와 대한민국은 3위 이상의 성적을 기록했으나 다른 팀들과 마찬가지로 다음 대회의 예선에 참가하게 되었다.
개최국 선정
오스트레일리아가 유일하게 2015년 AFC 아시안컵 유치를 신청했다. 2011년 1월 5일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오스트레일리아를 2015년 AFC 아시안컵 개최국으로 선정했다.
예선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는 본선에 자동 진출했다. 또한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우승한 일본과 3위에 입상한 대한민국도 차기 대회의 출전권을 확보했다. 이 대회에서 오스트레일리아가 준우승을 차지했으나, 2위 팀에게 주어진 출전권은 다음 순위 팀에게 승계되지는 않았다.[1]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과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팀에게도 출전권이 주어지며, 남은 자리는 예선을 통해 채워졌다.
- 본선 진출 국가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9/98/2015_AFC_Asian_Cup_Qualification.png/250px-2015_AFC_Asian_Cup_Qualification.png)
국가 | 진출 자격 | 진출 확정 날짜 | 과거 본선 진출 횟수와 연도1 |
---|---|---|---|
![]() |
개최국, 2011년 AFC 아시안컵 준우승 | 2011년 1월 5일 | 2회 (2007, 2011) |
![]() |
2011년 AFC 아시안컵 우승 | 2011년 1월 25일 | 7회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
2011년 AFC 아시안컵 3위 | 2011년 1월 28일 | 12회 (1956, 1960, 1964, 1972,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07, 2011) |
![]() |
2012년 AFC 챌린지컵 우승 | 2012년 3월 19일 | 3회 (1980, 1992, 2011) |
![]() |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 | 2014년 5월 30일 | 첫 출전 |
![]() |
C조 1위 | 2013년 11월 15일 | 8회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
E조 1위 | 2013년 11월 15일 | 8회 (1980, 1984, 1988, 1992, 1996, 2004, 2007, 2011) |
![]() |
D조 1위 | 2013년 11월 15일 | 4회 (1988, 2004, 2007, 2011) |
![]() |
A조 1위 | 2013년 11월 19일 | 2회 (2004, 2007) |
![]() |
B조 1위 | 2013년 11월 19일 | 12회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
B조 2위 | 2013년 11월 19일 | 9회 (1972, 1976, 1980, 1984, 1988, 1996, 2000, 2004, 2011) |
![]() |
D조 2위 | 2013년 11월 19일 | 8회 (1980, 1984, 1988, 1992, 2000, 2004, 2007, 2011) |
![]() |
E조 2위 | 2013년 11월 19일 | 5회 (1996, 2000, 2004, 2007, 2011) |
![]() |
A조 2위 | 2014년 [2월 4일 | 2회 (2004, 2011) |
![]() |
C조 2위 | 2014년 3월 5일 | 7회 (1972, 1976, 1996, 2000, 2004, 2007, 2011) |
![]() |
C조 3위 | 2014년 3월 5일 | 10회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7, 2011) |
- 1 강조된 글씨는 우승한 대회
개최 도시 및 경기장
이번 2015년 AFC 아시안컵은 오스트레일리아 브리즈번, 캔버라, 시드니, 뉴캐슬, 멜버른 등 총 5개 경기장에서 열린다.
브리즈번 | 캔버라 | 시드니 |
---|---|---|
브리즈번 스타디움 | 캔버라 스타디움 | 스타디움 오스트레일리아 |
수용인원: 52,500명 | 수용인원: 25,011명 | 수용인원: 84,000명 |
![]() | ||
멜버른 | ||
멜버른 렉탱귤러 스타디움 | ||
수용인원: 30,050명 | ||
뉴캐슬 | ||
뉴캐슬 스타디움 | ||
수용인원: 33,000명 | ||
![]() |
베이스 캠프
아래 틀은 2015 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16개 팀의 베이스캠프를 나열한 것이다.
팀 | 도착 | 마지막 경기 | 베이스 캠프 | 조별예선 경기장 | 8강전 경기장 | 준결승전 경기장 | 결승/3위 결정전 경기장 |
---|---|---|---|---|---|---|---|
![]() |
12월 29일 | 1월 31일 | 멜버른 |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 브리즈번 | 뉴캐슬 | 시드니 |
![]() |
12월 22일 | 1월 19일 | 밸러랫 | 멜버른, 캔버라, 시드니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29일 | 1월 22일 | 시드니 | 브리즈번, 캔버라 | 브리즈번 | 빈칸 | 빈칸 |
![]() |
12월 31일 | 1월 23일 | 시드니 | 멜버른, 시드니, 브리즈번 | 캔버라 | 빈칸 | 빈칸 |
![]() |
1월 1일 | 1월 30일 | 캔버라 | 브리즈번, 캔버라 | 캔버라 | 시드니 | 뉴캐슬 |
![]() |
1월 3일 | 1월 23일 | 세스넉 | 뉴캐슬, 브리즈번, 멜버른 | 시드니 | 빈칸 | 빈칸 |
![]() |
12월 23일 | 1월 20일 | 멜버른 | 브리즈번, 멜버른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18일 | 1월 17일 | 퀸비언 | 멜버른, 캔버라, 뉴캐슬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15일 | 1월 18일 | 캔버라 | 시드니, 멜버른, 캔버라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28일 | 1월 17일 | 시드니 | 캔버라, 시드니, 뉴캐슬 | 빈칸 | 빈칸 | 빈칸 |
![]() |
1월 2일 | 1월 20일 | 브리즈번 | 뉴캐슬, 멜버른, 캔버라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28일 | 1월 19일 | 캔버라 | 캔버라, 시드니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26일 | 1월 18일 | 브리즈번 | 브리즈번, 멜버른 | 빈칸 | 빈칸 | 빈칸 |
![]() |
12월 27일 | 1월 31일 | 시드니 | 캔버라, 브리즈번 | 멜버른 | 시드니 | 시드니 |
![]() |
12월 26일 | 1월 30일 | 골드코스트 | 캔버라, 브리즈번 | 시드니 | 뉴캐슬 | 뉴캐슬 |
![]() |
1월 3일 | 1월 22일 | 멜버른 | 시드니, 브리즈번, 멜버른 | 멜버른 | 빈칸 | 빈칸 |
시드 배정
2015년 AFC 아시안컵 본선 조 추첨은 2014년 3월 26일에 실시되었다. 이 대회의 개최국인 오스트레일리아와 2014년 3월자 FIFA 랭킹이 가장 높은 3팀인 이란, 일본, 우즈베키스탄은 최상위 시드에 배정되었다. 대한민국은 2011년 AFC 아시안컵에서 3위에 입상하였으나, FIFA 랭킹에서 세 팀보다 낮아 톱 시드에서 제외되었다.
시드 1 | 시드 2 | 시드 3 | 시드 4 |
---|---|---|---|
|
(*) 추첨 당시에는 우승 팀이 결정되지 않았다.
선수 명단
조별 리그
현지 시간(CEST/UTC+10, CEST/UTC+11)을 따릅니다.
A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3 | 0 | +3 | 9 |
![]() |
3 | 2 | 0 | 1 | 8 | 2 | +6 | 6 |
![]() |
3 | 1 | 0 | 2 | 1 | 5 | -4 | 3 |
![]() |
3 | 0 | 0 | 3 | 1 | 6 | -5 | 0 |
B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5 | 2 | +3 | 9 |
![]() |
3 | 2 | 0 | 1 | 5 | 3 | +2 | 6 |
![]() |
3 | 1 | 0 | 2 | 5 | 5 | 0 | 3 |
![]() |
3 | 0 | 0 | 3 | 2 | 7 | -5 | 0 |
우즈베키스탄 ![]() |
1 – 0 | ![]() |
---|---|---|
세르게예프 ![]() |
리포트 |
C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4 | 0 | +4 | 9 |
![]() |
3 | 2 | 0 | 1 | 6 | 3 | +3 | 6 |
![]() |
3 | 1 | 0 | 2 | 3 | 5 | -2 | 3 |
![]() |
3 | 0 | 0 | 3 | 2 | 7 | -5 | 0 |
D조
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 |
3 | 3 | 0 | 0 | 7 | 0 | +7 | 9 |
![]() |
3 | 2 | 0 | 1 | 3 | 1 | +2 | 6 |
![]() |
3 | 1 | 0 | 2 | 5 | 4 | +1 | 3 |
![]() |
3 | 0 | 0 | 3 | 1 | 11 | -10 | 0 |
결선 토너먼트
현지 시간(CEST/UTC+10, CEST/UTC+11)을 따릅니다.
8강전 | 준결승전 | 결승전 | ||||||||
1월 22일 - 멜버른 | ||||||||||
![]() | 2 | |||||||||
1월 26일 - 시드니 | ||||||||||
![]() | 0 | |||||||||
![]() | 2 | |||||||||
1월 23일 - 캔버라 | ||||||||||
![]() | 0 | |||||||||
![]() | 3 (6) | |||||||||
1월 31일 - 시드니 | ||||||||||
![]() | 3 (7) | |||||||||
![]() | 1 | |||||||||
1월 22일 - 브리즈번 | ||||||||||
![]() | 2 | |||||||||
![]() | 0 | |||||||||
1월 27일 - 뉴캐슬 | ||||||||||
![]() | 2 | |||||||||
![]() | 2 | |||||||||
1월 23일 - 시드니 | ||||||||||
![]() | 0 | 3위 결정전 | ||||||||
![]() | 1 (4) | |||||||||
1월 30일 - 뉴캐슬 | ||||||||||
![]() | 1 (5) | |||||||||
![]() | 2 | |||||||||
![]() | 3 | |||||||||
8강전
이란 ![]() |
3 – 3 (연장전) |
![]() |
---|---|---|
아즈문 ![]() 푸랄리간지 ![]() 구차네자드 ![]() |
리포트 | 야신 ![]() 마무드 ![]() 이스마일 ![]() |
승부차기 | ||
하지사피 ![]() 푸랄리간지 ![]() 네쿠남 ![]() 호세이니 ![]() 자푸리 ![]() 자한바흐슈 ![]() 테이무리안 ![]() 아미리 ![]() |
6 – 7 | ![]() ![]() ![]() ![]() ![]() ![]() ![]() ![]() |
일본 ![]() |
1 – 1 (연장전) |
![]() |
---|---|---|
시바사키 ![]() |
리포트 | 맙쿠트 ![]() |
승부차기 | ||
혼다 ![]() 하세베 ![]() 시바사키 ![]() 도요다 ![]() 모리시게 ![]() 가가와 ![]() |
4 – 5 | ![]() ![]() ![]() ![]() ![]() ![]() |
준결승전
3위 결정전
결승전
우승국
AFC 아시안컵 우승 |
---|
![]() |
제16대 아시아 챔피언(1회 우승) |
2015년 |
수상
최고 득점자 | 골든 글러브 | 최우수 선수 | 페어플레이 |
---|---|---|---|
![]() |
![]() |
![]() |
![]() |
아시안컵 2015 드림 팀
골키퍼 | 수비수 | 미드필더 | 공격수 |
---|---|---|---|
최종 순위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5/2015_AFC_Asian_Cup.png/350px-2015_AFC_Asian_Cup.png)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 | 실 | 차 | 승점 |
---|---|---|---|---|---|---|---|---|---|
1 | ![]() |
6 | 5 | 0 | 1 | 14 | 3 | +11 | 15 |
2 | ![]() |
6 | 5 | 0 | 1 | 8 | 2 | +6 | 15 |
결승전 진출 | |||||||||
3 | ![]() |
6 | 3 | 1 | 2 | 10 | 8 | +2 | 10 |
4 | ![]() |
6 | 2 | 1 | 3 | 8 | 9 | -1 | 7 |
4강전 진출 | |||||||||
5 | ![]() |
4 | 3 | 1 | 0 | 8 | 1 | +7 | 10 |
6 | ![]() |
4 | 3 | 1 | 0 | 7 | 3 | +4 | 10 |
7 | ![]() |
4 | 3 | 0 | 1 | 5 | 4 | +1 | 9 |
8 | ![]() |
4 | 2 | 0 | 2 | 5 | 5 | 0 | 6 |
8강전 진출 | |||||||||
9 | ![]() |
3 | 1 | 0 | 2 | 5 | 4 | +1 | 3 |
10 | ![]() |
3 | 1 | 0 | 2 | 5 | 5 | 0 | 3 |
11 | ![]() |
3 | 1 | 0 | 2 | 3 | 5 | -2 | 3 |
12 | ![]() |
3 | 1 | 0 | 2 | 1 | 5 | -4 | 3 |
13 | ![]() |
3 | 0 | 0 | 3 | 2 | 7 | -5 | 0 |
![]() |
3 | 0 | 0 | 3 | 2 | 7 | -5 | 0 | |
15 | ![]() |
3 | 0 | 0 | 3 | 1 | 6 | -5 | 0 |
16 | ![]() |
3 | 0 | 0 | 3 | 1 | 11 | -10 | 0 |
조별리그 진출 |
- 우승에서 4위까지는 준결승, 3위 결정전 및 결승전 결과로 순위를 가린다. 이전 단계에서 탈락한 팀들의 순위는 조별 리그와 동일하게 승점-골득실차-다득점순으로 가리며 모두 같을 경우 공동 순위로 한다.
- 8강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5위에서 최하 8위까지이다.
- 조별 리그에서 탈락한 팀은 최고 9위에서 최하 16위까지이다.
- 토너먼트에서 승부차기로 경기가 가려진 경우에는 FIFA의 규정에 따라 무승부로 기재한다.
득점 선수
- 5골
- 4골
- 3골
- 2골
- 1골
후세인 파델
밀레 예디나크
맷 매케이
로비 크루즈
마크 밀리건
토미 유리치
트렌트 세인스버리
제이슨 데이비드슨
조영철
남태희
김영권
이고리 세르게예프
오딜 아흐메도프
보키드 쇼디에프
위하이
우시
칼판 이브라힘
하산 알하이도스
에흐산 하지사피
마수드 쇼자에이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엔도 야스히토
오카자키 신지
요시다 마야
가가와 신지
시바사키 가쿠
야세르 카심
두르감 이스마일
왈리드 살렘 알라미
암자드 칼라프
량용기
나이프 하자지
나와프 알아비드
제이시 존 오쿤와네
사예드 지야 슈바르
사예드 아흐메드 자파
유세프 알라와시데
자카 히바이샤
압둘 아지즈 알무크발리
- 자책골
모하메드 하산 (아랍에미리트 전)
가오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전)
어시스트
- 4 어시스트
- 3 어시스트
파우지 아이쉬
안드라니크 테이무리안
- 2 어시스트
- 1 어시스트
- 해트트릭
기록
팀 득점 기록
팀 실점 기록
기타 기록
- 조별예선 4개의 조 모두 무승부 경기가 나오지 않았다. 모든 대회 통틀어서 조별예선에서 무승부 경기가 나오지 않은 대회는 1930년 FIFA 월드컵 이후 85년 만이다.
- 이번 아시안컵은 2004년 시작된 16개국 체제의 마지막 대회이다.
- 중국의 조별리그진은 3전 전승으로 통과이다.
- 대한민국은 조별리그 3경기를 모두 1대0으로 승리를 거두었고 8강, 4강에서도 모두 승리를 거두면서 1988년 AFC 아시안컵 이후 27년 만에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이번 대회의 중국과의 경기에서 전반 경기 불과 47초만에 골을 내주었다.
- 오스트레일리아는 이번 대회 개최국이자 통산 3번째 아시안컵 출전이며 2006년 오세아니아 축구 연맹에서 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소속을 옮긴 뒤 처음 출전한 2007년 AFC 아시안컵 이후 출전 3번째 만에 첫 우승을 차지하였다.
- 아랍에미리트의 알리 맙쿠트가 바레인과의 경기에서 불과 15초만에 선제골을 넣어 AFC 아시안컵 역대 최단시간 골을 기록하였다.
- 팔레스타인이 AFC 아시안컵에서 처음으로 골을 넣었다.
- 대한민국이 이번 대회로 통산 4번째의 결승 진출을 달성하였다.[2]
-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AFC 아시안컵 축구에서 연속 두 번이나 진출하였다. 그런데,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AFC 아시안컵에서는 1980년 AFC 아시안컵 때부터 동반 진출한 뒤 31년만에 다시 동반 진출하고, 이번에도 세 번째 동반 진출하였다. 아울러 FIFA 월드컵, FIFA U-20 월드컵, 2014년 아시안 게임까지 포함해 총 연속 여섯 번의 동반 진출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경우는 이번 대회에서 사상 최초의 골 포인트가 두 번이나 들어갔다.
중계 방송
지역 | 방송 | 주석 |
---|---|---|
![]() |
beIN Sports | [3] |
아시아 태평양 | Fox International Channels | [3] |
![]() |
폭스 스포츠, ABC | [4] |
![]() |
SporTV | [3] |
![]() |
CCTV | [5] |
![]() |
유로스포츠 | [3] |
![]() |
Now TV | [5] |
![]() |
Sony SIX | [5] |
![]() |
Sindo TV | [5] |
![]() |
IRIB | [5] |
![]() |
TV 아사히, NHK BS1 | [3] |
![]() |
TV3 | [3] |
![]() |
Sky Sport | [5] |
북아메리카 | ONE World Sports | [3] |
![]() |
SABC | [5] |
![]() |
KBS, SBS, MBC, SBS 스포츠, KBS N 스포츠, MBC 스포츠+ | [3] |
![]() |
Channel 7 | [3] |
![]() |
ABS-CBN Sports+Action | [3] |
![]() |
SPORT-UZ | [5] |
각주
- ↑ Automatic bye to 2015 Finals for top-three
- ↑ 1, 2회 대회 우승 당시 결승전 없이 풀리그로 우승팀을 가렸기에 대한민국은 이번 결승 진출로 사우디아라비아와 함께 최다 결승 진출국 (6회)이 된 것은 아니다.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자 차 “Official broadcasters”. afcasiancup.com. 2014년 12월 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2월 1일에 확인함.
- ↑ “ABC, FOX SPORTS, Asian Cup LOC and FFA announce deal for free to air broadcast of Asian Cup Football”. abc.net.au. 2014년 10월 28일에 확인함.
- ↑ 가 나 다 라 마 바 사 아 “Channels Telecasting Asian Cup 2015”. tsmplay.com. 2014년 11월 2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2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