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이사국 목록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10개국 총 15개국으로 구성된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은 유엔 총회에서 실시되는 선거를 통해 선출되며 유엔 총회는 해마다 비상임이사국 10개국 가운데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1965년까지는 상임이사국 5개국과 비상임이사국 6개국 총 11개국으로 구성되었다.
현재의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이사국
국가 | 지역 그룹 | 임기 시작 |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1946년 |
![]() |
동유럽 지역 | 1991년 (소련이 차지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1946년 |
![]() |
북아메리카 지역 | 1946년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1971년 (중화민국이 차지했던 상임이사국 의석을 승계함) |
비상임이사국
국가 | 지역 그룹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
![]() |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랍) | 2024년 | 2025년 |
![]() |
아프리카 지역 그룹 | 2024년 | 2025년 |
![]() |
아프리카 지역 그룹 | 2025년 | 2026년 |
![]() |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 (GRULAC) | 2024년 | 2025년 |
![]() |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 그룹 (GRULAC) | 2025년 | 2026년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 2024년 | 2025년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 2025년 | 2026년 |
![]() |
동유럽 지역 그룹 (EEG) | 2024년 | 2025년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WEOG) | 2025년 | 2026년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WEOG) | 2025년 | 2026년 |
지역 그룹

유엔은 전체 회원국을 5개 그룹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비상임이사국 의석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된다.
- 아프리카 지역 그룹: 3개국
-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2개국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그룹: 2개국
- 서유럽과 기타 지역 그룹: 2개국 (최소한 1개국은 서유럽 국가)
- 동유럽(경제 이행 국가) 지역 그룹: 1개국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유엔 총회는 해마다 2년 임기의 비상임이사국 5개국을 선거를 통해 새로 선출한다. 비상임이사국은 전체 유엔 회원국의 과반수 가운데 2/3 이상이 찬성하면 선출된다. 비상임이사국은 중임은 가능하지만 연임은 불가능하다.
선거 계획표
비상임이사국의 임기가 시작되는 연도 | 홀수 해 | 짝수 해 |
---|---|---|
아프리카 | 1개국 | 2개국 * |
아시아 태평양 | 1개국 | 1개국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 1개국 | 1개국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2개국 | 없음 |
동유럽 | 없음 | 1개국 |
(*)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은 반드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가운데 하나에 선출된다. 1968년부터 짝수 해에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에 배정된 비상임이사국 의석이 교체되는데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의 비상임이사국 임기가 만료되면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이 선출되며 반대로 아프리카 지역 그룹 쪽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의 임기가 만료되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 그룹 쪽에서 아랍 세계 국가 1개국이 선출되는 방식으로 번갈아가면서 선출된다.
이전의 안전 보장 이사회 구성
1946년부터 1965년까지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6개국은 다음과 같은 비율로 선출되었다.
역대 안전 보장 이사회 상임·비상임이사국
상임이사국
연도 | 미국 측 의석 | 영국 측 의석 | 프랑스 측 의석 | 소련 및 러시아 측 의석 | 중국 측 의석 |
---|---|---|---|---|---|
1945년 | ![]() |
![]() |
![]() |
![]() |
![]() |
1946년-1949년 | ![]() | ||||
1949년-1958년 | ![]() | ||||
1958년-1971년 | ![]() | ||||
1971년-1991년 | ![]() | ||||
1992년-현재 | ![]() |
비상임이사국 (1946년-1965년)
연도 | 라틴 아메리카 지역 | 영연방 지역 | 동유럽과 아시아 지역[1] | 중동 지역 | 서유럽 지역 | |
---|---|---|---|---|---|---|
1946년 | ![]() |
![]() |
![]() |
![]() |
![]() |
![]() |
1947년 | ![]() |
![]() |
![]() | |||
1948년 | ![]() |
![]() |
![]() | |||
1949년 | ![]() |
![]() |
![]() | |||
1950년 | ![]() |
![]() |
![]() | |||
1951년 | ![]() |
![]() |
![]() | |||
1952년 | ![]() |
![]() |
![]() | |||
1953년 | ![]() |
![]() |
![]() | |||
1954년 | ![]() |
![]() |
![]() | |||
1955년 | ![]() |
![]() |
![]() | |||
1956년 | ![]() |
![]() |
![]() | |||
1957년 | ![]() |
![]() |
![]() |
![]() | ||
1958년 | ![]() |
![]() |
![]() | |||
1959년 | ![]() |
![]() |
![]() | |||
1960년 | ![]() |
![]() |
![]() | |||
1961년 | ![]() |
![]() |
![]() |
![]() | ||
1962년 | ![]() |
![]() |
![]() |
![]() | ||
1963년 | ![]() |
![]() |
![]() |
![]() | ||
1964년 | ![]() |
![]() |
![]() | |||
1965년 | ![]() |
![]() |
![]() |
![]() |
비상임이사국 (1966년-현재)
이사국 재임 기간
연도 | 국가 | 첫 임기 연도 | 최근의 임기 연도 | 지역 그룹 | 각주 |
---|---|---|---|---|---|
80년 | ![]() |
1946년 | 2025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상임이사국. |
80년 | ![]() |
1946년 | 2025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상임이사국. |
80년 | ![]() |
1946년 | 2025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상임이사국. |
54년 | ![]() |
1971년 | 202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상임이사국. |
46년 | ![]() |
1946년 | 1991년 | 동유럽 지역 | 옛 상임이사국. 러시아 연방이 승계함. |
34년 | ![]() |
1991년 | 2025년 | 동유럽 지역 | 상임이사국. |
26년 | ![]() |
1946년 | 197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옛 상임이사국. 중화인민공화국이 승계함. |
24년 | ![]() |
1958년 | 2024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22년 | ![]() |
1946년 | 2023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8년 | ![]() |
1948년 | 2014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6년 | ![]() |
1950년 | 2022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15년 | ![]() |
1952년 | 202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14년 | ![]() |
1947년 | 2012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3년 | ![]() |
1959년 | 2017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2년 | ![]() |
1947년 | 202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2년 | ![]() |
1948년 | 200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2년 | ![]() |
1977년 | 202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서독 시대의 임기 4년 포함. |
11년 | ![]() |
1958년 | 2025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1년 | ![]() |
1946년 | 2019년 | 동유럽 지역 | |
10년 | ![]() |
1946년 | 2014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0년 | ![]() |
1952년 | 2015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0년 | ![]() |
1946년 | 2018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0년 | ![]() |
1966년 | 2015년 | 아프리카 지역 | |
10년 | ![]() |
1949년 | 2022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0년 | ![]() |
1955년 | 2019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10년 | ![]() |
1969년 | 2016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10년 | ![]() |
1962년 | 2016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9년 | ![]() |
1953년 | 2025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9년 | ![]() |
1946년 | 2017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2년 포함. |
9년 | ![]() |
1946년 | 2022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8년 | ![]() |
1968년 | 2025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8년 | ![]() |
1950년 | 2024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8년 | ![]() |
1978년 | 2023년 | 아프리카 지역 | |
8년 | ![]() |
1962년 | 2023년 | 아프리카 지역 | |
8년 | ![]() |
1973년 | 2020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8년 | ![]() |
1959년 | 2021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8년 | ![]() |
1948년 | 2017년 | 동유럽 지역 |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대의 임기 4년 포함. |
7년 | ![]() |
1962년 | 2022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7년 | ![]() |
1965년 | 2016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7년 | ![]() |
1954년 | 2016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7년 | ![]() |
1962년 | 2005년 | 동유럽 지역 | |
7년 | ![]() |
1951년 | 201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7년 | ![]() |
1950년 | 1989년 | 동유럽 지역 | 현재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몬테네그로, 북마케도니아, 세르비아, 슬로베니아에 걸쳐 있었음. |
6년 | ![]() |
1973년 | 201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6년 | ![]() |
1964년 | 2018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6년 | ![]() |
1966년 | 2003년 | 동유럽 지역 | |
6년 | ![]() |
1974년 | 2009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6년 | ![]() |
1964년 | 2019년 | 아프리카 지역 | |
6년 | ![]() |
1949년 | 1991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6년 | ![]() |
1967년 | 2018년 | 아프리카 지역 | |
6년 | ![]() |
1975년 | 2025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6년 | ![]() |
1965년 | 201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6년 | ![]() |
1973년 | 2022년 | 아프리카 지역 | |
6년 | ![]() |
1996년 | 202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6년 | ![]() |
1963년 | 2013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6년 | ![]() |
1957년 | 2004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6년 | ![]() |
1979년 | 2012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6년 | ![]() |
1968년 | 2017년 | 아프리카 지역 | |
6년 | ![]() |
2007년 | 2020년 | 아프리카 지역 | |
6년 | ![]() |
1957년 | 2018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6년 | ![]() |
1947년 | 2003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아랍 연합 공화국 시대의 임기 1년 포함. |
6년 | ![]() |
1969년 | 1988년 | 아프리카 지역 | |
5년 | ![]() |
1952년 | 2025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5년 | ![]() |
1966년 | 2010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2003년 | 2016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79년 | 200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4년 | ![]() |
1976년 | 2005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84년 | 2009년 | 아프리카 지역 | 첫 임기 7개월 동안에는 오트볼타라는 이름을 사용했음. |
4년 | ![]() |
1974년 | 2003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69년 | 1990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4년 | ![]() |
1972년 | 2003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68년 | 1993년 | 동유럽 지역 | |
4년 | ![]() |
1957년 | 197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4년 | ![]() |
1979년 | 2001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4년 | ![]() |
1978년 | 2019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4년 | ![]() |
1953년 | 201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4년 | ![]() |
1976년 | 2009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4년 | ![]() |
1966년 | 2001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83년 | 2024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4년 | ![]() |
1977년 | 2002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69년 | 1989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4년 | ![]() |
1970년 | 1984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4년 | ![]() |
1980년 | 2021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86년 | 2007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94년 | 2014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70년 | 2025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98년 | 2025년 | 동유럽 지역 | |
4년 | ![]() |
1975년 | 2006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82년 | 2013년 | 아프리카 지역 | |
4년 | ![]() |
1986년 | 2023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4년 | ![]() |
1965년 | 2017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4년 | ![]() |
2008년 | 202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4년 | ![]() |
1982년 | 1991년 | 아프리카 지역 | 현재의 콩고 민주 공화국. |
4년 | ![]() |
1983년 | 1992년 | 아프리카 지역 | |
3년 | ![]() |
1964년 | 1979년 | 동유럽 지역 | 현재의 체코, 슬로바키아에 걸쳐 있었음. |
3년 | ![]() |
1971년 | 2025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2022년 | 2023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2012년 | 2013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1998년 | 1999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2년 | ![]() |
2010년 | 2011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1995년 | 1996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70년 | 1971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74년 | 1975년 | 동유럽 지역 | 현재의 벨라루스. |
2년 | ![]() |
1992년 | 1993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60년 | 196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현재의 스리랑카. |
2년 | ![]() |
2014년 | 2015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2년 | ![]() |
2008년 | 2009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1994년 | 1995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1993년 | 1994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2019년 | 2020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1998년 | 1999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80년 | 1981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2018년 | 2019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2020년 | 2021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2012년 | 2013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1996년 | 1997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95년 | 1996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1955년 | 1956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2년 | ![]() |
2017년 | 2018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2년 | ![]() |
2014년 | 2015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2013년 | 2014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2년 | ![]() |
1985년 | 1986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74년 | 1975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2023년 | 2024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99년 | 2000년 | 아프리카 지역 | |
2년 | ![]() |
1994년 | 1995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2년 | ![]() |
1968년 | 1969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2020년 | 2021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2001년 | 2002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2년 | ![]() |
2006년 | 2007년 | 동유럽 지역 | |
2년 | ![]() |
1972년 | 1973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
2년 | ![]() |
2023년 | 2024년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2년 | ![]() |
1985년 | 1986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2년 | ![]() |
1985년 | 1986년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2년 | ![]() |
2006년 | 2007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
2년 | ![]() |
1961년 | 1962년 | 아프리카 지역 (아랍 국가) | 현재의 이집트, 시리아에 걸쳐 있었음. |
2년 | ![]() |
1990년 | 1991년 | 아시아 태평양 지역 (아랍 국가) | 선출 당시부터 첫 임기 5개월 동안에는 남예멘이었음. 남예멘이 북예멘(예멘 아랍 공화국)과 통일된 이후에도 그 자리를 승계받았음. |
1년 | ![]() |
1961년 | 1961년 | 아프리카 지역 | 임기 1년만 역임하고 사퇴함. |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
다음은 유엔 회원국 가운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된 기록이 없는 국가들이다.
국가 | 지역 그룹 |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무소속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서유럽과 기타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동유럽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프리카 지역 |
![]() |
카리브 제도와 라틴 아메리카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영연방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아시아 태평양 지역 |
![]() |
영연방 지역 |
같이 보기
각주
- ↑ 동유럽 지역 대표 의석과 아시아 지역 대표 의석은 1956년까지 단일 의석이었다.
- ↑ 라이베리아는 1961년에 서유럽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다.
- ↑ 모로코는 1963년부터 1964년까지 중동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다.
- ↑ 코트디부아르는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영연방 지역 대표로 선출되었다.
- ↑ 1984년 8월까지의 국명은 오트볼타였다.
- ↑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던 당시에는 남예멘이었으며 1990년 5월에 남예멘과 북예멘이 통일되면서 예멘이 되었다.
- ↑ 사우디아라비아는 2013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를 통해 선출되었지만 유엔 안전 보장이사회가 중동 분쟁 해결에 나서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는 내용이 담긴 성명을 발표하면서 거절했다. 이에 따라 요르단이 사우디아라비아를 대신하여 비상임이사국으로 선출되었다.
- ↑ 가 나 2016년 유엔 총회에서 실시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비상임이사국 선거에서 이탈리아와 네덜란드는 비상임이사국의 2년 임기를 각각 1년씩 나누기로 합의했다. 이탈리아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네덜란드의 비상임이사국 임기는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이다.